[총선의 해 밝았다]거야 심판 vs 정권 심판…한동훈·이재명 '차기 대선 전초전'

제22대 총선 관전 포인트
이준석·이낙연 신당 창당 행보 가속화
제3지대 확장력·파급력 판가름 어려워
수도권 의석 121석…중도층 표심 잡아야
'30%대 박스권' 대통령 지지율 변화 주목

국회 권력 지형을 재편할 제22대 총선이 불과 3개월여 앞으로 다가오면서 정치권이 요동치고 있다. 이번 총선은 취임 2년을 앞둔 윤석열 정부의 '중간 시험대'이다. 국민의힘은 '거야 심판론'을, 더불어민주당은 '정권 심판론'을 내걸며 팽팽한 승부를 예고하고 있다. 여기에 새해부터 탈당과 신당 창당 움직임이 더 가속화될 예정이라 총선 전까지 여러 변곡점을 거칠 전망이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와 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이 지난달 29일 국회 민주당 대표실에 입장하고 있다. 한 비대위원장이 이 대표실을 인사차 방문했다. [공동취재]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와 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이 지난달 29일 국회 민주당 대표실에 입장하고 있다. 한 비대위원장이 이 대표실을 인사차 방문했다. [공동취재]

우선 이번 총선에서 가장 주목받는 점은 양당 대표주자간의 대결 구도이다.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강력한 차기 대선 주자로 꼽힌다. 총선 결과에 따라 한 사람은 대권주자로서 입지를 굳힐 수 있고, 또 다른 한 사람은 정치적 책임을 져야 하는 입장이라 치명상을 입게 된다. 결국 이번 총선 결과가 대권 가도 향배를 가르는 분수령이 될 수 있다. 여기에 이 대표는 각종 의혹으로 재판 중인 상황에서 검사 출신 한 위원장과 맞붙게 됐다. 자칫 '검사 대 피고인' 구도로 비춰질 가능성도 있다. 국민의힘은 이 대표를 '중대범죄자'로 계속 내몰고 있는 상황이고, 민주당은 한 위원장을 향해 '윤석열 아바타'라며 깎아내리며 맞대응하고 있다.

양당의 신당 창당도 주요 변수이다. '이준석 신당'도 닻을 올린 상황이고, 이낙연 전 대표도 신년인사회를 열고 신당 창당 행보를 가속화하고 있다.앞서 금태섭 전 의원·류호정 정의당 의원이 '새로운선택'을, 양향자 무소속 의원이 '한국의희망'을 각각 창당했다. 총선을 목전에 두고 제3지대 세력이 커지고 있는 형국이다. 다만 이제 막 태동 단계라 향후 이들 제3지대의 연대를 통한 확장력과 파급력이 어느정도일지는 지금 단계에서 판가름 하기 쉽지 않다. 다만 거대 양당에 피로감을 느낀 유권자들이 많은 만큼 제3지대가 내년 총선 결과에 지형 변화를 일으킬 가능성도 높게 점쳐진다. 또 이들간 연대가 이뤄지지 않더라도 양당의 표심을 분산시킬 수 있다. 때문에 여야 모두 이들의 움직임에 촉각을 곧두세울 수밖에 없다.

제22대 총선 주요 관전 포인트
제22대 총선 주요 관전 포인트

총선 성적표는 중도층이 가장 많이 포진해 있는 수도권 민심에서 좌우될 전망이다. 역대 총선에서도 전체 지역구 의석에 절반인 121석을 차지하는 수도권에서 총선 전체 성적표가 갈렸다. 특히 국민의힘 입장에서는 전체 의석수에서 과반 달성, 혹은 다수당이 되기 위해서 수도권에서 선전이 절실하다. 지난 총선에서 국민의힘은 수도권에서 16석을 얻는 데 그쳤다. 전국에서 가장 많은 59석이 걸린 경기도의 경우 민주당이 51석을 얻어 석권했다.

양당 모두 수도권 민심을 확보하기 위해 '혁신'을 키워드로 내세우고 있다. 국민의힘은 한동훈 비상대책위원회를 출범시키며 민주당의 운동권 세대 교체를 주장하고 있고, 민주당은 비명계 이탈을 기점으로 본격적인 혁신 작업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

대통령의 지지율도 총선의 또 다른 변수로 지목된다. 30%대 박스권에 갇힌 윤석열 대통령의 지지율이 총선 직전까지도 이어질 경우 여당의 총선 승리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에 민주당은 '김건희 특검법' '이태원 참사 특별법' 등 윤석열 정권의 아킬레스건을 계속 겨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외에도 총선 당일 직전까지도 언제, 어디서 튀어나올지 모르는 '막말 논란' 역시 선거 승패를 가르는 주요 변수 중 하나가 될 것으로 관측된다. 여야 모두 그간 주요 선거를 앞두고 막말 논란으로 홍역을 치렀다. 이미 '노인 비하' 발언으로 논란이 일었던 국민의힘 민경우 비대위원은 결국 임명 하루 만에 사퇴했다. 민주당에서도 최강욱 전 의원의 '암컷', 민형배 의원의 '불임정당' 발언으로 여론의 질타를 받았다. 양당 모두 새 인물 영입에 나서면서 막말 논란 잡음이 이어지고 있다. 때문에 총선을 앞두고 당내 막말을 비롯한 행실에 주의하라는 특별 당부가 수시로 내릴려질 것으로 보인다.

한편 총선을 3개월여 앞에 두고 있는데도 여야는 여전히 제대로 된 선거제 협상 시도조차 못하고 있다. 특히 정치적 이해관계가 얽혀 있는 만큼 비례대표 배분 방식을 두고 이견을 좁히지 못 하고 있다. 일찌감치 병립형 비례대표제를 주장한 국민의힘과는 달리 민주당은 내부에서부터 개편 방식에 대한 입장을 정하지 못한 상황이이다. 초기엔 준연동형 유지를 내세웠으나 지도부가 병립형 비례제로의 회귀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내부 반발이 일고 있다.

노태악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은 새해 신년사를 통해 “선거제·선거구 등이 확정되지 않았으나 선거관리에 차질이 없도록 빈틈없이 준비하겠다”고 약속했다.

성현희 기자 sungh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