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연, PEER와 지진 취약지구 안정성 확보 나선다

김병석 건설연 원장(오른쪽)과 칼리드 M. 모살람 PEER 디렉터.
김병석 건설연 원장(오른쪽)과 칼리드 M. 모살람 PEER 디렉터.

한국건설기술연구원(원장 김병석)은 지진 재난 분야 세계적인 선도 연구기관인 미국 UC 버클리대 태평양 지진센터(PEER)와 16일 기술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PEER는 미국 UC 버클리 대학에 본부가 있으며 20개 이상의 대학, 컨설팅 회사, 주·정부기관 등으로 구성된 다기관 연구조직이다.

PEER에서는 구조 및 지반, 지질·지진, SOC, 라이프 라인(수도관·가스관·송유관·전기통신선로 등 선형 도시기반시설 네트워크 연결망), 공공정책 등의 다양한 분야에 성능기반 지진공학을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으며, 지진공학분야에서 세계 최고 기술력을 지닌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한편 국내외 크고 작은 지진발생 빈도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올해 1월 1일 일본 이시카와현에서 발생한 규모 7.6의 노토반도지진, 작년 2월 6일의 규모 7.8의 튀르키예-시리아 지진의 경우 많은 인명 피해 및 건물 피해가 발생했다.

특히, 작년에 발생한 모로코 지진과 아프가니스탄 지진은 규모가 각각 6.8, 6.3으로 지진에 취약한 조적조 건물(벽돌, 콘크리트블록 등을 쌓아 올린 건물)을 중심으로 큰 인명피해가 집중됐다.

우리나라의 경우 2022년 말 기준으로 국내 건물 중 5층 이하 민간 중소규모 건축물이 약 97%를 차지하며, 이중 내진율은 15% 수준이다.

국내 설계기준에 따르면 건물 종류에 따라 내진설계기준이 6.0~6.5 수준으로 설정돼 있다. 국내에서 모로코와 아프가니스탄 지진과 유사한 규모의 지진이 발생할 경우, 도심지 노후 취약 지역을 중심으로 막대한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지진 발생 시 신속하고, 선제적인 안정성 확보를 위해 인공지능 기술과 결합한 지진 안정성 확보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금번 업무협약을 통해 건설연과 PEER는 지진재난과 관련하여 지진피해 저감, 지진해석 분야 등에 대한 기술협력을 약속했다.

또 성능설계 지진 공학에 대한 수치해석, 실대형 실험, 공공 정책 결정 등에 관한 기술 및 경험 교류의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건설연은 올 상반기 이내로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한 지진 안정성 확보를 위한 융합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다.

'시설물의 지진피해 저감, 내진 안정성 향상 등을 위한 해석 및 평가 기술 분야'에 대해 세계 최고 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국제 공동 연구추진 등 다양한 연구개발 활동을 계획하고 있다.

또 국토교통부(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가 지원하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인 '시설물 안전 기반 플랜트 통합위험관리 패키지 기술개발(2021~2025, 건설연 주관)' 연구 과제의 플랜트의 지진 위험도 평가기술 향상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병석 원장은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지진 재난 분야에서 세계적인 선도 연구기관인 PEER와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관련 기술 교류 및 융합연구 추진 등 지진 분야의 선도적 기관으로 발돋움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를 통해 내진 선진국들도 아직 확보하지 못한 대도시 저층 밀집 주택 지역들의 지진 안전성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확보함으로써 국민 안전을 위해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영준 기자 kyj85@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