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반도체로 주목받는 2차원 반도체는 단위 부피 당 광특성이 매우 우수하고 유연하기까지 하다. 유연 소자, 나노광소자, 태양전지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 가능하다.
국내 연구팀이 2차원 반도체 주요 광학 특성인 엑시톤(Exiton)과 트라이온(Trion)을 능동제어하고 실시간 발광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포스텍(POSTECH)은 박경덕 물리학과 교수·통합과정 강민구 씨, 기초과학연구원(IBS) 다차원 탄소재료연구단 부연구단장 및 UNIST 화학과 서영덕 교수, 충북대 물리학과 이현석 교수 공동연구팀이 금 나노와이어 기반의 탐침증강 공진분광 시스템을 개발해 엑시톤과 트라이온의 상호변환을 능동제어하고, 실시간 발광특성 분석이 가능한 기술을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를 통해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트라이온의 생성원리를 규명하는데 성공했다.
![왼쪽부터 박경덕 포스텍 교수, 통합과정 강민구 씨, 서영덕 UNIST 교수](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4/01/24/news-p.v1.20240124.c9af69b6f23c4b959615572d69df3366_P1.png)
금속과 반도체를 결합하면 새로운 광학·전기적 특성을 가진 다기능 이종접합소자를 개발할 수 있다. 연구팀은 금 나노와이어에 2차원 반도체인 이셀레늄화 몰리브덴 단일층을 결합해 복합 구조를 만들고, 탐침증강현미경과 결합해 탐침증강 공진분광 시스템을 구축했다.
잘 디자인된 금 나노와이어 구조에 빛을 쏘이면 플라즈몬의 표면 정상파를 구현할 수 있다. 연구진은 이를 이용해 2차원 반도체의 엑시톤으로부터 트라이온으로의 변환을 유도하려고 했는데, 실제로는 전하의 다중극 모드도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이번 실험을 통하여 규명할 수 있었다.
![탐침 증강 공진 분광 시스템을 이용한 엑시톤과 트라이온 간 변환 제어 이미지](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4/01/24/news-p.v1.20240124.c987585760fc40809e6b0ca399645939_P2.jpg)
탐침증강 공진분광 시스템은 광 회절한계를 뛰어넘는 약 10㎚의 공간분해능으로 반도체 입자들에 대한 나노광특성의 실시간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시스템을 이용해 트라이온의 생성 원리를 규명하고, 엑시톤-트라이온 상호변환의 가역적 능동제어를 가능하게 했다.
연구진은 이를 통해 단순 고정밀 측정장비 개발이 아니라 측정과 더불어 물질의 상태까지 초고분해능으로 실시간 능동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나노 능동제어 플랫폼'을 제시했다.
이번 연구 제1 저자인 강민구 씨는 “태양전지, 광전 집적회로 등 엑시톤과 트라이온을 활용하는 분야 연구자들에게 새로운 돌파구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에는 충북대 물리학과 김수진 씨, 포스텍 물리학과 통합과정 주희태, 구연정, 이형우 씨 등이 참여했다. 한국연구재단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과학기술사업화진흥원, 한국화학연구원, UNIST, 기초과학연구원(IBS) 등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성과는 최근 국제 학술지 '나노 레터스(Nano Letters)'에 게재됐다.
포항=정재훈 기자 jho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