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요 기업이 국내 ESG 공시기준과 글로벌 ESG 공시 표준을 효율적으로 연계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정부는 1분기 중으로 ESG 공시기준 초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24일 서울 여의도 한국경제인협회(FKI)타워 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제8차 K-ESG 얼라이언스 회의에참석한 기업은 국내 ESG 공시기준 초안에 이같은 점이 반영돼야 한다고 요구했다.
회의에는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포스코, 롯데, GS, CJ, 풍산, 삼양홀딩스, 일동제약 등 40여개 K-ESG 얼라이언스 회원사가 참석했다.
정부는 국내 기업 준비 상황과 산업계 건의 등을 고려해 ESG 공시체계를 2025년까지 갖추고 2026년부터 의무 적용하기로 했다.
앞서 기획재정부는 제조·통신·은행·도매·건설·서비스 등 각 산업 분야에 걸쳐 자산규모 2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기업 242개를 대상으로 ESG공시제도 방안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기 시작했다. 이달까지 의견을 접수하고 경제단체와 투자자 등 이해관계자, 관계부처 의견을 수렴해 3월 중 ESG공시기준 공개초안을 발표한 후 의견 수렴을 이어갈 계획이다.
이날 김병환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탄소 다배출 공정 혁신, 우수인재 확보 관점에서 일·가족 양립이 가능한 근로환경 조성, 투명한 기업지배구조 개선에 기업이 더욱 노력해야 한다”면서 “앞으로 ESG 경영을 잘하는 기업이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며, 정부는 이를 더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또 “특히 일본이 최근 거버넌스 변화를 꾀하면서 글로벌 투자시장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 점을 감안해 정부의 자본시장활성화 정책에 맞춰 기업도 거버넌스 개선에 노력해달라”고 당부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환경정보 공개제도 등 관련 제도와 국제 기준을 국내 ESG 공시제도와 어떻게 연계할 것인지 구체 방안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다수 제기됐다. 국내 기업이 해외 수출하거나 현지에서 생산할 경우 현지 ESG 공시기준을 준수해야 한다. 국내와 해외 공시기준 차이를 최소화하면 기업이 시간과 비용을 이중으로 들이는 비효율을 제거할 수 있어 이를 감안해달라는 목소리가 지속 나왔다.
윤태수 기재부 지속가능경제지원팀장은 “환경정보공개제도, 고용형태현황 공시제도 등 여러 정보공개 제도와 ESG 공시제도 간 유사·중복인 항목에 대한 명칭을 일원화하는 등 연계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며 “ESG 공시·경영·투자에 걸쳐 민간 중심의 ESG 생태계 활성화를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배옥진 기자 withok@etnews.com
-
배옥진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