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 인한 판매 부진과 재고 증가 여파로 국내 기업 수익성이 악화하면서 지난해 부실기업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인협회는 31일 발간한 '기업부실예측모형을 통한 2023년 부실기업 추정 보고서'에서 외감기업(금융업 제외) 평균 부실확률을 측정한 결과 2019년 5.33% 이후 매년 증가해 지난해 7.92%까지 치솟았다고 밝혔다.
특히 전체 외감기업 3만6425개사 중 11.7%(4255개사)가 완전자본잠식 상태에 놓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는 2022년 부실기업 3856개사 대비 10.3% 증가한 것으로 2019년 이후 5년 사이 가장 높은 수치다.
부실확률이 높은 업종은 부동산·임대업(21.4%)과 보건업·사회복지서비스업(21.4%)으로 나타났다.
특히 건설업이 가장 가파르게 부실확률이 상승했다. 2019년 2.6%에서 2023년 현재 6.0%로 4년 사이 두 배 이상 급증했다. 교육 서비스업(14.2%), 전기·가스·증기·수도사업(13.9%), 운수업(13.4%) 등이 뒤를 이었다.
한경협은 건설업의 기업 부실위험이 크게 증가한 것은 부동산 대출 연체율 증가로 인한 부동산 경기 침체, 고금리, 원자재값 상승, 부동산 PF 부실화 우려 등으로 인한 자금경색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부실기업 증가는 금융과 실물경제 간 리스크를 확대 재생산해 경제 전반 안정성을 크게 위협할 수 있는 요인”이라면서 “부실 위험을 줄이기 위해 자금조달 금리를 인하하고 기업활력제고법상의 사업재편 제도를 활용한 선제적인 사업 구조조정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배옥진 기자 withok@etnews.com
-
배옥진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