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육아휴직 사용률 30% … “유연근무 활용해야”

한국의 출산휴가와 육아휴직 제도 보장 수준은 OECD 상위권이지만, 실제 부모들의 사용률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활동이 단절되는 육아휴직보다 유연근무 등의 제도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7일 발표한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제도 국제비교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제도 보장 수준은 OECD 38개국 중 다섯 번째로 보장 수준이 높았다. 육아휴직 사용률은 낮다. 2022년 출생아 부모 중 2022년 육아휴직 사용률은 30.2%로 여성은 70%, 남성은 6.8%였다. 2015년 대비 전체는 11.6%P, 여성은 12%P, 남성은 6.2%P 증가했지만 여전히 저조한 수준이다.

여성의 출산전후 휴가와 여성 육아휴직 제도 보장 기간은 64.9주, 급여지급률은 52.4%로 OECD 38개국 중 16위를 차지했다. 남성의 경우 배우자 출산휴가와 육아휴직 제도를 합산해 비교한 결과, 보장 기간은 54주, 급여지급률은 46.7%였다. 평균소득의 100%를 보장하는 완전유급기간은 25.2주로 OECD 국가 중 2위를 기록했다.

합계출산율과 모성보호 급여총액 추이 (자료: 통계청, 고용노동부)
합계출산율과 모성보호 급여총액 추이 (자료: 통계청, 고용노동부)

경총은 “지난 20년간 출산휴가와 육아휴직 제도의 기간, 급여 수준이 빠르게 확대됐다”면서도 “경력 단절 방지와 저출산 극복은 미흡했다”고 평가했다.

여성고용 현황에서 여성의 경력단절 전체 사유 중 '육아로 인한 경력단절'이 42%를 차지한다. 경총은 “여성의 경력단절이 심화되는 가운데 2022년 합계출산율이 0.78명을 기록하는 등 저출산 상황이 더 악화됐다”고 밝혔다.

경총은 “경력단절 최소화와 저출산 해소를 위해 현 제도의 실효성 제고와 함께 기업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기업은 가족친화경영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경총은 시간선택제, 탄력근무제 등 유연근로제를 확산시켜 휴가와 휴직에 편중된 제도를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또, 가족친화경영을 하는 기업에 법인세 감면 등 인센티브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임영태 경총 고용·사회정책본부장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와 출산율 제고가 모두 중요한 과제”라며 “노동시장과 단절되는 육아휴직보다는 일과 출산·육아를 병행할 수 있는 유연근무 등의 제도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신영 기자 spicyzer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