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듀플러스]〈칼럼〉 교육발전특구에 바라는 것

전호환 지방대학활성화특별위원회 위원장·동명대 총장
전호환 지방대학활성화특별위원회 위원장·동명대 총장

“교육발전특구가 K-에듀의 마중물이 됐으면...”

필자가 교육발전특구에 거는 기대다. 교육발전특구란 정부가 '진정한 지방시대를 열기 위해' 기획한 기회발전특구, 교육자유특구, 도심융합특구, 문화특구 가운데 하나다. 필자는 4개 특구 모두 교육과 대학에 바탕을 둘 때 정부가 의도했던 국가균형발전은 물론이고 '교육은 성장 동력'이란 말을 증명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교육발전특구 유치로 전국이 뜨겁다. 부산에서도 박형준 시장의 주도로 교육청, 대학, 기업까지 나서 '부산형 교육발전특구'를 만들기 위해 머리를 맞대고 있다. 지역의 모든 기관이 나서는 것은 '교육이 지방시대의 핵심'이라는 생각 때문이다. 정부가 교육발전특구에 지원하는 돈은 최대 100억 원에 불과하기에 부산이 돈 때문에 교육발전특구에 지원하는 건 아니다. 부산이 지향하는 글로벌 허브 도시의 한 축은 교육과 대학의 국제경쟁력 강화이기 때문이다.

교육발전특구에는 'K-에듀를 만들기 위해 지역의 지혜를 빌리자'는 생각도 있다. 그래서 과거에 없던 지자체와 민간까지 들어와 특색있는 교육발전특구를 만들려는 게 아니겠는가. 현재의 한국교육은 바뀌지 않고는 안 될 상황이다.

초중등의 진학 위주 경쟁교육은 숱한 부작용을 낳고 있고, 지역대학은 학령인구 급감으로 빈사 상태로 가고 있다. 과도한 사교육비 지출과 보육에 대한 부담으로 MZ 세대는 결혼을 기피하고 있다. 다행히 대부분의 지자체가 교육발전특구에 보육과 육아의 부담을 덜어주는 제도를 도입한다고 하니 지자체+교육청+대학+민간이 융합한 '한국형 교육복지'의 탄생이 머지않았다.

[에듀플러스]〈칼럼〉 교육발전특구에 바라는 것

필자가 기대를 거는 건 민간이다. 민간의 창의성은 K-한류를 만든 주역이었다. K-팝, 드라마, 푸드를 비롯한 K 콘텐츠는 민간의 힘 덕분이었다. 상상력, 자유분방, 창의성, 도전정신으로 무장한 민간의 생각이 교육발전특구에 투영되기를 기대한다.

민간의 생각이 투영된 교육발전특구가 나온다 해도 교육의 '과잉 경쟁'을 해소하는 방안은 꼭 나와야 한다. 대통령도 지적했던 교육의 과잉 경쟁 해소 없이는 진정한 교육발전특구는 없다는 게 필자의 생각이다. 한국은 OECD 국가 가운데 내신과 대입시험 모두 상대평가인 유일한 나라다. 순위를 가르는 시험 탓에 우리의 미래세대들은 AI가 몇 초면 뱉어낼 지식을 암기하기 위해 헛된 시간을 쓰고 있다.

모두가 어떤 세상이 와도 이겨낼 수 있는 역량을 길러주는 교육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입을 모으지만 정작 교육현장에서는 남의 나라 얘기다. 학생 맞춤형 역량 교육은 AI기술을 활용하는 HTHT(High Touch, High Tech)가 대안일 수 있다.

정제영 이화여대 교수는 “교사가 주도하는 하이터치 하이테크 교육은 앎과 실천의 융합”이라고 했다. 동기부여와 정서적 지원을 하는 교수자(하이터치)와 첨단기술을 활용한 적응적 학습(하이테크)으로'자기와의 경쟁' 즉 창의학습을 구현하는 것이다. 창의학습은 주입식 교육이 아닌 프로젝트 기반 실천학습(PBDL)이다.

교육발전특구에는 '자신과의 경쟁'이 핵심인 교육이 도입돼야 한다. 대학에서 첫 시도인 동명대의 두잉(Do-ing) 학습, 대구와 제주에서 가능성을 확인한 국제바칼로레아(IB) 프로그램은 '친구가 경쟁자가 아닌 동반자'가 특징이다. 어렸을 때부터 '함께 잘 사는' 가치를 몸에 배게 하는 교육이 필요하다. 21세기에 강조되는 4C(비판적 사고력, 소통능력, 협업능력, 창의력)는 한국식 경쟁교육으로 길러질 수 없다. 교육발전특구는 한국교육의 단점을 보완해 K-에듀의 확실한 지향점을 제시해야 한다.

전호환 지방대학활성화특별위원회 위원장·동명대 총장

◆전호환 지방대학활성화특별위원회 위원장·동명대 총장=부산대 총장, 거점국립대 총장협의회장, 대통령직속 국가교육회의 위원 등을 역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