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지난해 개정된 '임대형기숙사' 제도를 활용해 '1인 가구를 위한 공유주택' 공급에 나선다고 26일 밝혔다.
먼저 1인 가구 중심 주거 공간인 만큼 입주자의 안정적 주거를 보장하면서도 개인 취향과 다양성을 담아낼 수 있는 특화된 공간을 제공한다.
크게 개인이 생활하는 주거공간과 커뮤니티 활동을 하는 공유공간으로 나뉘는데, 주거 공간에 대한 임대료는 주변 원룸 시세의 50~70% 수준으로 공급한다. 그 밖의 공유 공간은 입주자가 선택해 사용한 만큼만 부과해 주거비 부담을 덜어준다는 계획이다.
만 19~39세는 6년까지 거주토록 하고, 만 40세가 넘은 중장년 이상은 최장 10년까지 살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공유 공간은 △주방·식당·세탁실·운동시설 등 '기본생활공간' △택배보관실·입주자지원센터 등 '생활지원시설' △작은도서관·회의실 등 '커뮤니티공간' △게임존·펫샤워장·공연장 등 '특화공간(2개소 이상)' 등 입주자 특성 등에 맞춰 총 4가지 유형으로 조성된다.
1인 가구를 위한 공유주택은 통근·통학·통원 등 입주자가 편리한 생활을 이어 나갈 수 있도록 기반시설이 충분히 형성된 곳에 공급한다. 역세권(역으로부터 350m 이내), 간선도로변(50m 이내), 의료시설 인근(병원 350m 이내)을 아울러 대상지를 선정할 계획이다.
원활하고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적극적 민간사업자 지원으로 사업을 유도한다. 용도지역 상향과 법적 최대 상한용적률을 부여하고 통합심의로 빠른 사업을 보장, 사업성을 높여준다는 계획이다.
서울시는 또 양도소득세 감면, 종합부동산 합산 배제 등 혜택을 지원하고 기존 '청년·어르신 안심주택' 사업과 유사하게 취득세와 재산세도 감면받을 수 있도록 행정안전부에 '지방세특례제한법' 개정을 건의했다.
한병용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올해 사업계획 승인을 2500실 정도 예상한다”며 “1000실 정도는 올해 연말에 착공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동대문과 중구 쪽에 대상지를 검토하고 있다”며 “4년간 2만실 정도가 공급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공사 기간은 규모에 따라 2∼3년 정도가 걸릴 것으로 추정된다. 올해 사업 계획 승인이 나면 2026~2027년께 첫 입주가 가능할 전망이다.
한 실장은 “서울시 '5집 중 2집'이 1인 가구일 것으로 예상되는 2030년까지 5년여밖에 남지 않아 1인 가구를 위한 주거지원 방안이 꼭 마련돼야 할 시점”이라며 “1인 가구를 위해 좋은 입지·공간·임대료, '삼박자'가 갖춰진 공유주택을 빠르게 공급해 1인 가구의 안정적 주거를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명희 기자 noprin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