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인 합계출산율이 0.72명까지 떨어졌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꼴찌이자 평균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 출생아 수는 10년 전의 절반 수준인 23만명까지 추락했다.
통계청은 28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3년 출생·사망통계 잠정 결과'를 발표했다.
작년 합계출산율은 0.72명으로 전년보다 0.06명 줄어 1970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낮았다. 우리나라는 2013년부터 줄곧 OECD 국가 가운데 합계출산율 꼴찌를 기록하고 있다. 가장 최근 통계인 2021년 기준으로 합계출산율이 1명 미만인 나라는 한국뿐이었다. 한국 다음으로 출산율이 낮은 스페인의 2021년 합계출산율은 1.19명이다. 작년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2021년 OECD 평균 합계출산율(1.58명)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
우리나라의 합계 출산율은 1974년(3.77명) 4명대에서 3명대로, 1977년(2.99명) 2명대로, 1984년(1.74명) 1명대로 떨어졌다. 2018년(0.98명)에는 0명대로 떨어졌고 이후에도 2019년(0.92명), 2020년(0.84명), 2021년(0.81명), 2022년(0.78명)에 걸쳐 지난해까지 끝을 모르고 추락하고 있다. 2016년부터 8년 연속 감소세다.
합계 출산율을 시도별로 보면 서울(0.55명)이 가장 낮고 이어 부산(0.66명), 인천(0.69명) 순이었다. 합계 출산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세종·전남(0.97명)이었다. 전국 17개 시도 중 합계 출산율이 1명을 넘은 곳은 한 곳도 없다.
지난해 출생아 수는 23만명으로 전년(24만9000명)보다 7.7% 감소했다. 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를 가리키는 조출생률도 지난해 4.5명으로 전년보다 0.4명 감소했다. 출생아 수와 조출생률 모두 역대 최저다.
출생아 수는 30년 전인 1992년 73만1000명이었으나 20년 전인 2002년(49만7000명) 40만명대로 떨어졌고, 5년 전인 2017년(35만8000명)에는 30만명대로 하락했다. 그로부터 3년 뒤인 2020년(27만2000명)으로 떨어진 데 이어 3년 만에 23만명까지 내려갔다. 작년 출생아 수는 10년 전인 2013년(43만7000명)의 약 절반, 30년 전인 1993년의 3분의 1 수준이다.
작년 출생아 23만명 가운데 13만8000명은 첫째 아이였고 둘째는 7만4000명, 셋째 이상은 1만7000명에 그쳤다. 첫째 아이 수는 전년보다 4.6% 줄었고 둘째와 셋째 이상은 각각 11.4%, 14.5% 급감했다. 이에 따라 전체 출생아 중 첫째 아이의 비중은 60.1%로 전년보다 1.9%포인트(P) 올랐다. 둘째 비중은 32.3%, 셋째 이상은 7.5%였다.
이준희 기자 jhlee@etnews.com
-
이준희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