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금융 전문가들이 오픈파이낸스 시대에 걸맞는 K-금융플랫폼 경쟁력 강화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모았다. 통합 인프라 구축 등 금융플랫폼 기술과 제도를 개선해 글로벌 시장 경쟁력을 확보해야한다는 지적이다.
28일 한국핀테크산업협회와 디지털경제금융연구원이 은행회관 2층 국제회의실에서 개최한 '2024년 금융플랫폼 경쟁력 제고 세미나'에서는 이같은 내용이 논의됐다.
세미나에서는 국내 금융플랫폼이 오픈API, 오픈뱅킹을 넘어 '오픈파이낸스'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평가했다. 단순히 타 은행간 송금을 넘어 대출 갈아타기 시스템, 보험 비교·추천서비스 등 데이터 공유 범위가 넓어지고 연결되는 양상이 펼쳐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성복 자본시장연구원 박사는 '금융플랫폼 발전의 특징과 과제' 발표에서 “금융플랫폼에서 대출, 카드, 보험 등에서 나아가 보건의료, 교통, 유통 등 모든 영역 서비스가 가능해질 것”이라며 “누가, 얼마나 자그마한 스크린 안에서 금융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그리고 아낌없이 제시할 수 있는가가 관건”이라고 설명했다.
국내 금융플랫폼 한계도 존재했다. 마이데이터업 허가 혹은 금융업 인허가 등 규제 환경으로 규제샌드박스에 의존한 핀테크 금융 서비스가 주를 이룬다는 점, 직접 계약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광고 방식으로 타 금융 플랫폼 서비스를 연결한다는 점 등이다.
진정한 오픈파이낸스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기술적·법적 과제 해결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금융업 진입 장벽을 낮추되 감독을 철저히 하고, 금융상품계약까지 플랫폼에서 가능하게하되 플랫폼 책임과 의무를 강화하는 등 제도적 개선이 방안으로 소개됐다. 클라우드 활용, 사용자경험(UX) 개선 등 사용자향 서비스를 위한 기술도 제안됐다.
궁극적으로 '오픈파이낸스 통합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김시홍 법무법인 광장 박사는 “오픈뱅킹의 통합 확장 모델이자 결제·송금·조회·비교추천·이동서비스가 결합된 오픈파이낸스 통합 인프라를 구축해 명실상부 오픈파이낸스로 도약하기 위한 새로운 인프라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며 “금융상품뿐 아니라 부수적 금융제도 운용도 플랫폼 형태로 운용할 수 있도록하는 개방형 인프라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오픈뱅킹, 마이데이터 등 분리 구축 운영 중인 인프라를 통합해 초거대 금융AI 시대에 대응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김 박사는 “오픈파이낸스 통합인프라 구축을 위해 △플랫폼 정책 견지 △관련 입법 및 규제 개선 △진입장벽 해소 및 공정경쟁 등이 필요하다”며 “또한 앱 하나로 모든 금융 서비스가 이루어지기에 보안과 소비자 보호 강화가 필수적이며 디지털 소외계층 배려 등 다양한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날 열린 세미나에는 권대영 금융위원회 사무처장, 이근주 핀산협회장, 정유신 디지털경제금융연구원장, 허선호 미래애셋증권대표, 이승건 토스 대표, 신원근 카카오페이 대표 등을 비롯해 금융·핀테크 관계자 200여명이 참석했다.
'2024년 플랫폼을 활용한 금융경쟁력 제고와 대응방안'을 주제로 열린 이번 행사에서는 디지털금융트렌드의 변화와 핀테크 회사들의 해외진출 사례 논의, 금융플랫폼 인프라 구축과 활용, STO 산업의 현황 및 사례와 전망을 공유했으며, 향후 우리나라의 금융플랫폼 경쟁력 제고를 위한 대응방안에 대해 종합적인 토론이 진행됐다.
정다은 기자 dandan@etnews.com
-
정다은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