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복지공단은 급증하는 산재신청에 대응해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재해조사 시스템 구축을 추진한다고 6일 밝혔다.
그 동안 산재신청 시 사업주 확인제도 폐지, 보호범위 확대 등 제도 개선 영향으로 지난해 산재신청 건수는 5년 전 대비 42% 증가한 19만6206건에 달했다. 산재처리는 근로이력과 의무기록 등 증거자료 수집이 많고 업무상 질병은 유해·위험요인 조사 등 복잡한 내용과 절차로 인해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공단의 업무량 증가는 산재 근로자의 빠른 사회복귀와 신속·정확한 보상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공단은 올해 AI를 활용한 재해조사 유형 분류 모델을 개발해 재해조사를 효율화할 예정이다. 공단은 모델이 개발되면 과거 산재보상 빅데이터와 산재신청서에 기재된 데이터, 유관기관 자료 등을 기반으로 재해조사 유형에 따라 신속 또는 집중 조사를 함으로써 산재결정의 신속성과 정확성을 한층 더 높일 것으로 기대했다.
앞서 공단은 유관기관과의 연계를 통해 종전에는 근로자가 직접 발급받아 제출하던 17종의 서류를 기관에서 직접 받고 있다. 지난해에는 재해조사 시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14단계의 업무를 자동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해 업무 효율을 개선했다.
박종길 이사장은 “재해조사 프로세스 자동화를 통한 신속·정확한 산재결정으로 근로자의 입증 부담을 완화하고 산재근로자가 적기에 요양과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최다현 기자 da2109@etnews.com
-
최다현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