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진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위원장이 정부 전용 초거대 인공지능(AI)을 도입해서 새로운 정부 모습을 구현하고, 우리나라가 주도하는 새로운 디지털 질서를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고 위원장은 14일부터 15일(현지시간)까지 이탈리아 베로나와 트렌토에서 열린 G7(주요 7개국) '산업 및 디지털·기술 장관회의'에 의장국 초청을 받아 우리나라 수석 대표로 참석해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14일 열린 산업 장관회의 '인공지능과 신흥기술' 세션에서 산업과 공공분야 혁신과 AI 일상화를 위한 우리나라 AI 융합·확산 정책을 소개했다. 국가 간 디지털 격차 해소에 기여하기 위해 '글로벌 사우스'(제3세계 또는 개발도상국) AI 역량 강화를 지원할 계획을 전달했다.
그는 “한국은 디지털플랫폼정부 구현을 통해 의료·교육 등 국민 일상에서 AI 활용을 확산해 가고 있다”면서 “제조·금융·물류와 같은 기존 산업에는 AI 융합을, 중소·스타트업에는 AI 개발에 필요한 데이터, 컴퓨팅 자원을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국가 간 디지털 격차가 경제적 격차를 심화시켜선 안된다”면서 “공적개발원조(ODA) 수원국에서 공여국으로 전환한 유일한 국가인 한국이 디지털 공동 번영을 위해 '한-아세안 디지털 혁신 플래그십'사업 등으로 '글로벌 사우스'와 협력을 확대하겠다”고 덧붙였다.
고 위원장은 15일에는 트렌토에서 열린 디지털·기술 장관회의 '공공행정을 위한 AI 및 디지털 공공인프라' 세션에 참여했다.
그는 AI 안전을 확보하면서도 혁신을 놓치지 않는 균형 잡힌 정책 방안을 고민하는 AI 신뢰성 확보 정책을 공유했다.
그동안 우리 정부는 글로벌 사회를 향해 디지털 규범 비전을 제시했고, 주도적으로 새로운 디지털 질서를 만들어가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바 있다. 앞서 지난해 6월 윤석열 대통령은 AI·디지털 규범 논의를 위해 UN 산하 국제기구 신설을 제안했고, 같은 해 9월 자유·공정·안전·혁신·연대를 담은 디지털 권리장전을 발표했다.
고 위원장은 “AI 프롬프트 같은 하나의 검색창을 제공하고, 국민이 원하는 것을 모두 해결하는 정부 모습이 디지털플랫폼정부의 궁극적인 목표”라면서 “이를 위해 보안이 담보된 공간에서 민간 최신 AI가 정부 데이터를 학습하는 '정부 전용 초거대 AI'를 도입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경험담과 노하우를 국제 사회와 적극 공유하겠다고 밝혔다. 또 한국과 영국이 공동 개최하는 'AI 안전성 정상회의' 적극 참여를 당부했다.
그는 세션 참석 참가국·국제 기구 각료들과 양자 면담하고, AI 정책 등 디지털플랫폼정부 협력을 논의한 후 귀국한다.
류태웅 기자 bigheroryu@etnews.com
-
류태웅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