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기업결합 규모가 전년 대비 32.2%(105조원) 급증했다. 전기차 수요 증가,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으로 인한 공급망 재편, 유럽연합(EU)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규제 강화에 대응해 '이차전지' 등 친환경 분야에 적극적인 투자가 이뤄졌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지난해 기업결합 심사 건수는 총 927건으로 2년 연속 감소했으나, 기업결합 금액은 총 431조원에 달해 2020년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제조업이 299건으로 32.3%, 서비스업이 628건으로 67.7%를 차지했다. 제조업에서는 전기전자(86건), 기계금속(85건) 분야가 많았고, 서비스업에서는 금융(216건), 정보통신방송(83건) 분야가 많았다.
특히, 이차전지·신재생에너지 발전 등 친환경 관련 기업결합이 37건 나타났으며, 이차전지 재활용 사업을 영위하기 위한 기업결합도 일부 나타났다.
롯데케미칼이 2조7000억원에 일진머티리얼즈 주식을 취득하는 등 이차전지 사업자들은 원재료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수직계열화 추진했다.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른 보조금을 받기 위해 배터리 핵심광물은 미국 자유무역협정(FTA) 협정국에서, 배터리 부품은 북미에서 생산하도록 합작회사 설립을 통해 공급망을 재편했다. 캐나다에서 SK온이 에코프로 주식을 취득하고, 미국에서 현대자동차와 LG에너지솔루션이 합작회사를 설립했다.
유럽연합(EU) 배터리 규정으로 인해 배터리 원재료의 일정 비율 재활용이 의무화되는 등 배터리 재활용 시장이 확대됐다. 삼성과 성일하이텍은 독일에서, 포스코와 GS는 국내에서 각각 폐배터리 재활용분야 합작회사를 설립했다.
이병건 공정위 기업집단결합정책과장은 “이차전지 관련 업종에서 기업결합이 특히 활발했다”면서 “전기차 수요 증가에 따라 이차전지 시장이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데 국내외 기업들은 수직계열화를 통한 경쟁력 강화,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에 대응한 공급망 재편, EU 친환경 정책으로 인한 폐배터리 재활용 등 다양한 목적에 따라 기업결합이 이뤄졌다”고 강조했다.
한편, 지난해 대기업집단에 의한 기업결합은 231건으로 전년 대비 12.1% 감소했으나, 기업결합 금액은 일부 대형 기업결합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56.8% 증가한 30조원으로 나타났다. SK가 26건으로 신고 건수가 가장 많았고 중흥건설이 13건, 한화가 9건으로 그 뒤를 이었다. 기업집단 내 단순 구조 개편(계열사 간 기업결합)을 제외하면 SK(20건), 중흥건설(13건), 미래에셋·LS·포스코(각 8건) 순으로 신고가 이뤄졌다.
이준희 기자 jhlee@etnews.com
-
이준희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