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40년 이후 한반도 겨울철 한파 감소 예상”…한-미 국제공동연구팀, 21세기 장기 기후분석

1920년부터 2100년까지 겨울철 따뜻한 북극-추운 대륙(WACC) 일수.
1920년부터 2100년까지 겨울철 따뜻한 북극-추운 대륙(WACC) 일수.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윤진호 지구·환경공학부 교수가 이끈 한-미 국제공동연구팀이 한반도에도 향후 10년간 북극발 한파가 여전히 또는 더 자주 발생할 가능성 있으며 2040년 이후에는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다고 20일 밝혔다.

한-미 국제공동연구팀은 겨울철 한파의 주요 원인 가운데 하나로 지목된 '따뜻한 북극-추운 대륙 현상'의 미래 변화에 대한 전망을 제시했다.

연구팀이 '전지구기후모델 다중앙상블 자료(CESM1 LENS)'를 분석한 결과, 2040년에 해당하는 21세기 중반 이후에는 '따뜻한 북극-추운 대륙 현상'이 현격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고 이를 통해 한반도의 겨울철 한파 역시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윤진호 GIST 교수(오른쪽)와 홍윤기 박사과정생.
윤진호 GIST 교수(오른쪽)와 홍윤기 박사과정생.

최근 CNN은 지난 1월 미국은 남부와 동부 지역을 포함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기록적인 추위가 발생했고 이로 인해 최소 5명이 사망했다고 보도했다.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기상청 '월간 기후분석정보'에 따르면 지난해 12월과 올해 1월 평균기온은 모두 평년보다 높았으며 한파일수 또한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같은 중위도 지역임에도 서로 상반된 기후를 나타내는 현상은 겨울철에 점점 따뜻해진 우리나라에도 미국처럼 기록적인 추위가 발생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연구팀은 분석했다. 지구온난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2030년대까지는 북극 지역 찬바람의 남하를 막아주는 북극 소용돌이의 약화에 따른 '따뜻한 북극-추운 대륙' 현상이 점차 증가할 것이며 이는 북극발 한파가 향후 10년 동안은 여전히 혹은 더 자주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연구팀은 이 시기 이후에는 따뜻한 북극-추운 대륙 현상의 빈도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일 것으로 예측했으며 미래에 더 심화되는 지구온난화가 북극 추운 공기의 남하를 억제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진호 교수는 “'따뜻한 북극-추운 대륙' 현상이 언제 정점을 찍고, 언제부터 감소하기 시작할지에 대한 미래 전망을 제공한다”며 “이러한 변화를 이해하는 것은 북극발 한파를 겪는 지역에서 효과적인 기후변화 대응 전략을 수립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 교수와 홍윤기 박사과정생이 주도했으며 시유(사이먼) 왕 유타주립대 교수, 손석우·김상우 서울대 교수, 정지훈 전남대 교수, 김백민 부경대 교수, 김형준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가 참여한 공동연구로, 한국연구재단 해양극지기초원천기술개발사업과 중견연구사업의 지원을 받아 이뤄졌다.

연구 결과는 기상학 분야의 국제 저명학술지인 네이처(Nature) 자매지 '기후와 대기과학'에 최근 온라인으로 게재됐다.

광주=김한식 기자 hsk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