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개로 쪼개진 '물 관리 시스템' 통합 플랫폼으로 합친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환경부가 9개로 분산된 물 관련 데이터를 표준화해 하나의 플랫폼으로 통합하는 작업을 시작했다.

환경부 산하 국립환경과학원은 25일 32억원 예산을 투입해 '국가 통합물관리정보플랫폼 구축' 사업을 발주했다고 밝혔다.

현재 물 정보는 9개 시스템에서 분산돼 종합적인 정책 결정을 지원하는 시스템이 부재한 상황이다.

예를 들어 수질은 국립환경과학원의 물환경정보시스템에, 수자원은 홍수통제소의 국가수자원관리 종합정보시스템과 수자원공사의 물정보 포털에서 찾아야 한다. 하천은 환경부의 하천지리정보시스템, 지하수는 국가지하수정보시스템에서 관리한다.

때문에 홍수나 가뭄, 녹조 등 복합 데이터가 필요할 경우 여러 시스템을 방문해 데이터를 취합해야 한다. 또 통계 자료와 국가 정책 등 일부 서비스는 유사한 내용이어도 시스템별로 중복돼 효율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9개 시스템의 연간 유지관리비만 27억원이 발생하고 시스템별로 저장 형식이 달라 데이터 활용에도 한계가 있다.

최근 물 관련 데이터 수요는 급격히 증가하는 상황이다. 물 분야 공공데이터 이용 건수는 2019년 14만4000건에서 2021년에는 1795만1000건으로 125배 증가했다.

환경과학원은 올해는 물정보 통합 표준체계와 지리정보체계(GIS) 기반 제공체계를 구축하고, 내년부터 기존 시스템 통폐합을 시작해 2028년까지 체계적인 융합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2027년부터 9개 시스템 중 7개 시스템은 도메인을 없애고 통합하는 단계를 밟는다.

통합이 완료된 후에는 수질, 수자원, 수도, 하수도, 가뭄, 지하수 등 물 관련 모든 데이터와 서비스를 한 곳에서 제공하게 된다.

환경과학원 측은 “통합물관리정보플랫폼을 추진해 GIS 기반 데이터 통합과 융복합 서비스 제공으로 물 데이터의 활용도를 높이고 종합적 분석과 정책 의사결정을 지원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다현 기자 da2109@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