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달도 늦다”…빅데이터·AI로 경기 상황 지표 '속보성' 높인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정부가 보다 정밀하게 경기 상황을 판단하기 위해 '속보성 지표'를 개발한다.

기획재정부는 경기 예측 기간을 단축하기 위해 빅데이터 기반 실시간 경기진단 시스템 구축에 착수했다. 비용은 6억원 안팎이다. 소비와 생산 관련 빅데이터를 활용해 경기의 움직임을 보다 빠르게 예측해 효과적으로 정책을 세우는 게 개발 목표다.

기재부 관계자는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외부충격의 경기파급 속도가 빠르고 경기 전환이 급격하게 진행되는데 소비·투자 등 실물경제 관련 공표지표는 시차가 길어 현재 경기상황에 대한 조기진단과 적기대응에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경제 변동이 예전보다 빨라져 한 두달씩 늦게 발표되는 지표로는 정책 대응이 뒤처질 수 밖에 없다는 점에서다 .

실제 통계청의 산업활동동향이나 한국은행의 분기별 GDP 발표는 2~4개월 가량의 시차가 발생한다.

또 기재부가 매달 발표하는 경제동향지표 '그린북'은 카드사용액, 백화점 매출실적 등 속보성 데이터를 활용하지만 정제되지 않은 지표여서 정확성이 떨어진다.

이에 기재부는 해외 사례 분석,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실물경제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한다.

모니터링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는 드론·위성사진, GPS 데이터, 결제 정보, 구글 트렌드, 날씨, 뉴스, 소셜미디어 등 해외에서 기존에 활용 중인 비정형 고빈도·마이크로 데이터를 토대로 발굴한다. 또한 정부·지자체·공공기관이 보유한 데이터 등을 폭넓게 검토해 유용한 정보를 파악할 계획이다.

ICT도 적극 활용한다.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해 실물지표를 개발하고 설명가능 인공지능(XAI) 기법을 통해 어떤 요인이 지표 변동에 영향을 미칠지 요인 분석도 병행할 계획이다.

통계청도 산업연구원에 '월간 경기상황 파악을 위한 속보성 경제지표 개발 연구 사업'을 발주하고 지표 개발 가능성 및 필요성 등을 연구할 방침이다. 통계청의 지표는 현재 산출하고 있는 경기지수의 속보성을 강화하는 게 목표다.

최다현 기자 da2109@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