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계가 임상정보는 물론 전자의무기록(EMR) 표준화 작업에 박차를 가하며 데이터 기반 진료 환경 구축에 총력을 기울인다. 이달 첩약 급여 확대 실시 등 한의약이 건강보험 제도권에 들어오면서 환자 편의성 증진은 물론 산업 육성도 본격화하겠다는 방침이다.
1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와 한국한의약진흥원은 한의약 임상정보 빅데이터 구축사업 일환으로 이르면 내달 임상정보 표준화 작업에 착수한다. 동시에 한방병원을 대상으로 EMR 표준안을 시범 적용, 진료정보 교류 기반까지 마련한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2021년부터 한의약 임상정보 빅데이터 구축을 통한 한의계 과학화·데이터화를 추진 중이다. 이 사업은 △한의약 EMR 표준안 개발 △임상정보 교류체계 구축 △빅데이터지원센터 운영 등을 핵심으로 한다.
사업 주관기관인 한국한의약진흥원은 올해 한의약 빅데이터 구축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임상정보 표준화를 우선 추진할 계획이다. 한의원, 한방병원 등에서 사용하는 임상진료용어를 국제 표준용어(스노메드 CT)로 변환하고, 실제 진료 현장에서 기입할 수 있는 코드까지 개발한다. 41개 질환이 우선 적용 대상이다.
한의 임상활용 의료기기 데이터베이스(DB)도 처음 구축한다. 현재 국내에서 활용되는 한의 의료기기 수, 업체 등 정보를 수집하고 DB까지 마련한다. 이 기기에서 나온 데이터 처리와 분류 체계까지 마련해 추후 한의 의료기기 산업 육성 기반으로 활용한다.
지난해 시범 적용한 한의 EMR 표준안을 확대 실증한다. 진흥원은 한의원, 한방병원에서 쓰는 EMR에 표준 임상정보를 모을 수 있는 모듈을 지난해 개발했다. 32개 한의원에 시범적용했는데, 올해 한방병원급으로 확대해 실증·고도화한다.
진흥원은 임상정보 표준화와 EMR 표준 모듈 확대 적용으로 진료정보 교류 체계를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3~4년 안에 한의원이나 한방병원도 일반 병원처럼 환자 정보를 교류해 의료기관이 바뀌더라도 의료진이 환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목표다. 동시에 정보 표준화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기반을 마련, 의료기기 개발 등 산업 활용까지 촉진할 계획이다.
한의계는 그동안 과학화, 데이터화를 중점 추진 과제로 다양한 투자를 벌여 왔다. 병원마다 진단, 처방이 다른데다 체계적인 데이터 관리도 되지 않아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지적 때문이다. 특히 이달 29일에는 종전 한의원에서 한방병원까지 첩약 급여화 시범사업이 실시되면서 한의계는 또 다른 성장 동력을 확보하게 됐다.
서병관 한국한의약진흥원 임상정보빅데이터추진단장은 “임상정보 표준화는 빅데이터 구축 시발점”이라며 “한의 의료기기 개발 등 산업적 활용은 물론 의료기관 간 진료정보 교류로 환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용철 기자 jungyc@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