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센터, 국산화부터 해외진출까지…정부, 종합지원 모색

게티이미지 제공
게티이미지 제공

정부가 데이터센터 국산화와 해외진출 모색 등 데이터센터 산업 육성을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인공지능(AI), 클라우드 등 신기술 이용이 급증하면서 기반기술인 데이터센터 산업 성장도 전망돼 이를 뒷받침할 계획이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제4차 클라우드 기본계획 마련을 위한 주요 논의 사항 중 하나로 '데이터센터 산업 진흥'을 확정했다.

정부는 향후 3년간 클라우드 산업 발전을 위한 클라우드 기본계획 수립에 착수했다. 민간과 공공 2개 분과로 구성해 오는 6월 최종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 민간 분과 논의주제로 △클라우드 인프라 경쟁력 강화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활성화 △데이터센터 산업 육성 세 가지로 구성했다.

정부는 지난 3차 클라우드 기본계획에 처음 데이터센터 산업 영역을 다뤘지만 산업 실태 조사 등 기본적 지원 수준에 그쳤다.

이번 4차 기본계획에는 데이터센터 산업 육성을 위한 전방위적 제도와 지원책을 살펴볼 방침이다.

세부 논의 주제로 △데이터센터 관련 법제도 개선 △장비국산화 △지역분산 등을 꼽았다.

데이터센터 진흥을 위한 법제도 개선뿐만 아니라 데이터센터 신고제 도입 타당성 등을 검토한다. 각 부처의 규제 관련 사항을 조사·분석해 개선 방향을 설정한다.

데이터센터 장비 관련 국내 기업 현황을 조사·분석한다.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SW) 등 솔루션도 검토해 경쟁우위 가능분야를 살핀다. 이를 통해 해외진출을 위한 'K-데이터센터(가칭)' 모델 등도 검토한다.

지역분산도 논의한다. 에너지분산법에 따른 데이터센터 지역 분산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전문인력 양성, 지역수요 확충, 지자체 컨설팅 등을 살핀다.

한국데이터센터연합회에 따르면 국내 민간 데이터센터 매출 규모는 2020년 3조원을 첫 돌파했다. 이후 연 평균 10% 성장률을 보이며 올해 4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상업용(데이터센터 구축 후 재판매) 매출은 연 평균 16% 가파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보인다.

업계는 그동안 이 같은 산업 성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지원이 절실하다고 주장했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전향적으로 데이터센터 산업 관련 다양한 지원책을 논의한다는 점은 고무적”이라며 “세계 주요 기업이 AI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데이터센터 투자를 늘리는 상황에서 우리나라도 산업 육성을 통해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지선 기자 riv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