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국가산업단지 지정 50주년을 맞는 창원국가산단이 디지털·문화 산단으로의 전환을 기치로 내걸고 새로운 50년을 향해 발돋움한다.
반세기 사이 국내 기계산업 메카로 자리매김한 창원산단의 출발점은 1974년 4월로 거슬러 올라간다. 박정희 대통령의 중화학공업 육성 정책에 따라 건설부 고시 제92호로 당시 논밭이었던 창원시 성산구 두대동, 외동, 가음정동, 남산동 일대가 국가산단으로 지정됐다.
44개 업체가 입주하면서 가동을 시작한 창원산단은 지난해 기준 총 2965개 업체가 입주한 초대형 산단으로 거듭났다. 입주 업체 수가 늘면서 산단 면적도 커졌다. 애초 13.16㎢ 규모였던 창원산단 부지는 이제 35.87㎢로 경기도 과천시 전체 행정구역과 맞먹는다.
생산액은 산단 출범 이듬해인 1975년 15억원에서 지난해 60조597억원으로 4만배 증가했다. 경남 전체 산단 생산액의 56%에 달한다. 창원시가 비수도권 유일 특례시(인구 100만 이상 기초자치단체)가 될 수 있었던 데는 창원산단의 역할을 빼놓을 수 없다.
하지만 제조업의 전반적인 쇠퇴에 창원산단에도 적지 않은 위기감이 감돈다. 가장 큰 문제는 인력난이다. 청년 이탈 가속으로 특히 중소기업은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추세다. 지난해 말 기준 창원시 주민등록 인구는 100만9998명으로 매년 1만명 수준의 인구가 줄어드는 추세를 고려하면 이르면 올해 특례시 기준인 인구 100만이 무너질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에 창원시와 경남도는 창원산단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미래 50년 비전으로 △디지털전환 및 첨단기술형 산업전환 △산업·문화·청년이 공존하는 친화형 국가산단 탈바꿈 △첨단산업 성장을 견인하는 산업인력 육성 △규제개선 등 산단운영 효율화의 4대 전략을 내걸고 세부 추진과제를 마련했다.
박완수 경남도지사도 “창원국가산단은 지난 50년간 경남 제조산업을 이끌어온 요충지이나 현재 산단 고도화와 정주환경 개선 등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강도 높은 전환을 요구했다.
우선 디지털 인재와 기업이 뿌리내리고 성장할 수 있는 디지털 거점을 조성하기 위해 판교테크노밸리에 버금가는 '경남 제조 디지털 혁신밸리'를 조성할 계획이다. 인공지능(AI) 자율제조 기술을 기업에 확산하는 '초거대 제조 AI 서비스 개발 및 실증' 사업과 '소형모듈원자로(SMR) 기술개발' 사업에도 속도를 낼 방침이다.
청년이 떠나지 않고 찾아오는 산단 조성을 위해 연구개발, 기업지원, 문화여가 복합시설인 디지털 크리에이티브 타운과 연구개발(R&D) 커넥트 허브 조성에도 착수한다. 산단 내 카페, 독서문화공간, 어린이집 등 편의시설과 다양한 문화활동 공간을 마련하고 산단 문화 인프라와 예술 공연사업을 접목해 청년 근로자와 함께하는 문화 지원사업도 확대 추진한다.
첨단산업 성장을 견인하는 우수인력 유치·육성과 생산인력 양성에도 팔을 걷어붙인다. 경남 과학기술기관 설립으로 과학인재를 양성하고 지역·대학 간 동반성장을 위한 글로컬 선도대학 육성으로 우주항공, 방산 등 현장 실무형 인재를 양성한다. 교육발전특구 운영을 통해 지역인재 양성부터 지역정주까지 전주기로 지원하겠다는 목표다.
경남도는 이같은 내용의 창원국가산단 미래 50년 비전 추진에 3조8047억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해 향후 4조4417억원의 생산유발효과, 1조8994억원의 부가가치유발효과, 4만4861명의 취업유발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한편 경남도는 4월 23일부터 27일까지 창원국가산단 지정 50주년 기념행사 주간을 운영한다. 23일 창원 소재 마이스터고 재학생을 대상으로 도내 연구원과 대기업을 둘러보는 산업관광 프로그램을 시작으로 24일 기념식 및 상징조형물 제막식, 25~26일 콘퍼런스, 27일 문화체험 및 축하 음악회, 드론쇼, 불꽃쇼 등이 펼쳐질 예정이다.
창원=노동균기자 defros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