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가 올해 대기업 및 앵커기업의 선제적 유치를 위해 공격적인 투자유치 전략을 펼치겠다고 나섰지만, 공업용수에 발목을 잡혔다. 공업 생산활동의 핵심 요소인 공업용수의 안정적 확보 측면에서 불안 요소를 안고 있는 탓에 앞으로 지방자치단체 간 기업 유치 경쟁에서 힘을 발휘하려면 이를 선제적으로 해결해야 할 상황이다.
6일 시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국토교통부로부터 최종 승인을 받은 '세종 스마트 국가산업단지'의 실시설계 및 토지 보상 등 절차를 올해부터 실시한다.
연서면 와촌리 일원에 275만3000㎡ 규모로 조성 예정인 스마트 국가산단은 연구개발(R&D)부터 실증, 기술창업과 성장 등 미래 신산업 모든 단계의 입지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융복합형 산단이다. 시는 스마트 국가산단 조성과 함께 대기업 및 앵커기업 유치를 위해 올해 초부터 투자유치전략 태스크포스(TF) 운영과 함께 투자 촉진 보조금 지원 등 방침을 세워 기업에 세금감면, 규제 특례 등을 제공하기로 한 상태다.
특히 스마트 국가산단은 수도권과의 인접성을 비롯해 산업 정책을 담당하는 중앙부처가 밀집한 점이 기업에 입지적 장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는 실제 대기업 유치 가능성으로도 나타나고 있다. 지역 산업계 등에 따르면 SK실트론은 최근 스마트 국가산단 내 웨이퍼 공장 추가 신설을 검토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시는 이에 대해 최근 SK실트론 측과 실무차원의 협의는 없었다고 설명한다.
시 관계자는 “스마트 국가산단 조성 계획에 따라 지난해 SK실트론을 비롯한 유수의 기업들과 접촉해 유치 의사를 타진한 적은 있다”며 “다수의 기업이 스마트 국가산단을 추가 입지로 검토하겠다는 입장은 확인했으나 현재 이와 관련해 실제 논의 단계에 접어든 사례는 없다”고 말했다.
이처럼 스마트 국가산단 내 대기업 유치 가능성이 수면 위로 올라오고 있지만, 실질적인 유치 성공으로 이어지지 못하는 이유로는 공업용수 문제가 꼽힌다.
현재 시가 수도정비기본계획을 통해 추정한 향후 계획시설의 공업용수 일 수요량의 경우 스마트 국가산단은 8800톤 규모다. 이는 최근 유치 가능성이 거론됐던 SK실트론 웨이퍼 공장의 일 평균 사용량인 약 4만톤을 충족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다.
이 때문에 지역 산업계는 안정적인 공업용수 공급 부분을 충족하지 못한 탓에 실제 유치 논의에 이르지 못한 것이란 분석도 내놓고 있다. 이와 함께 현재 계획시설 공업용수 수요량만으로는 향후 기업 유치에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기 어렵다고 지적한다. 이를 근거로 공업용수 수요량 증가 예측을 담아 수도정비기본계획의 변경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은다.
시는 향후 공격적인 기업 유치를 위해 수도정비기본계획 변경이 필요하다는 점에 대해선 인정하고 있지만 수자원의 한정성으로 인해 공업용수 확보가 쉽지 않다는 점을 토로한다.
시 관계자는 “현재 계획용수량 역시 최대치로 선정된 상태”라며 “수요량이 증가할 것이란 예측만으로는 용수 배분량 확대를 정부에 요구하기 어려운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단기적으로는 인근 산단과의 공업용수 연계 공급 방안을, 중장기적으로는 세종지역 용수 배분량 전체를 늘리는데 행정력을 집중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세종=이인희 기자 leeih@etnews.com
-
이인희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