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인턴과 레지던트 등 전공의들이 지역 종합병원이나 의원에서도 수련을 받을 수 있도록 전공의 수련 체계를 다양화한다.
노연홍 의료개혁특별위원회 위원장은 1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진행된 제2차 의료개혁특별위원회 브리핑에서 “전공의들의 1~3차 의료기관에 걸친 수련의 다변화는 중증 진료만 배우는 게 아니라 전공의가 실제 현장에서 필요한 다양한 의료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하자는 취지”라고 말했다.
노 위원장은 “현재 대학병원에서 수련을 거친 전문의 중 절반 이상이 지역의 중소병원이나 의원에서 근무하는 상황”이라며 “상급병원과 중소병원, 의원은 환자군과 진료 내용이 달라 현재의 수련체계로는 실제 현장에 맞는 다양한 역량을 키우는 데 어려움이 있다”고 전했다.
정경실 복지부 의료개혁추진단장은 “많은 전문가가 상급종합병원이나 대학병원에서 수련하더라도 다양한 의료기관에서 실제로 임상 경험을 쌓을 수 있는 수련체계가 필요하다는 지적을 많이 했다”라며 “전공의가 상급종합병원, 지역종합병원, 의원에서 골고루 수련할 수 있도록 의료기관 간 협력 수련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특위는 현행 인턴제를 포함한 전공의 수련체계를 전면 개편해 현재와 같은 총 4~5년의 편제 내에서 1~5년 차까지 내실 있는 통합수련체계를 확립한다. 이를 위해 전공의 수련 교과과정, 지도전문의 배치기준 등 인적·물적 기준의 전면적 개선방안을 마련한다.
전공의가 '상급종합병원-지역종합병원-의원'을 골고루 수련할 수 있도록 의료기관 간 협력 수련체계를 마련하고, 수련 중 지역·필수의료 교육을 강화하는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수련체계 개편에 따른 전공의 수련 비용은 정부 재정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특위는 이런 체계 개편이 단시간에 이뤄지기 어려운 점을 고려해 전공의 의존도가 높은 상급종합병원을 점차 전문의 중심으로 바꾸는 방안도 집중 검토한다.
보건복지부 수련환경평가위원회에 따르면 올해 3월 현재 단일 전문과목 수련병원 등을 모두 포함한 전체 수련병원은 모두 248곳이다. 서울시내 주요 상급종합병원인 '빅5'를 포함한 주요 100개 병원에 전체 전공의(1만3000여명)의 95%가 근무해왔다. 이같은 체계를 탈피하겠다는 내용이다.
의료개혁특위는 의사단체의 참여를 이날도 촉구했다.
정 단장은 “의협과 전공의협의회 등 의료계에서는 아직도 특위 참여 의사를 밝히지 않고 있다”라며 “의료계에서도 의료개혁 필요성, 시급성에 대해 공감대가 있는 상황이다. 언제라도 특위와 전문위원회에 참여할 수 있도록 문호를 열어두겠다”고 말했다.
송혜영 기자 hybrid@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