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료 교사가 학생이 잃어버린 스마트 기기를 사비로 채워놓는 경우를 봤다. 학교에서 사용하는 스마트 기기를 학생이 분실할 경우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몰라 급한 마음에 사비로 이 문제를 해결했다고 들었다.”(서울 모 초등학교 교사 A씨)
전국 초·중·고생 디지털 기기 보급률이 66.77%에 육박하지만, 디지털 기기가 고장나거나 분실될 경우 이를 해결할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온다. 교사 B씨는 “학생이 잃어버린 디지털 기기에 대한 책임을 교사가 지는 것은 말이 안 된다. 학생 개개인에게 디지털 기기를 나눠줬다면 분실이나 고장에 관한 책임을 학생이 져야 한다”고 말했다.
지금처럼 명확한 지침이 정해져 있지 않은 상황에서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수업을 제대로 진행하기 어렵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교사 C씨는 “지금처럼 명확한 지침이 나와 있지 않은 상황이 지속된다면 교사가 배정받은 디지털 기기를 학생에게 배부조차 하지 않는 사례가 나올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이에 대해 교육부는 17개 시도교육청별 점검지원단을 구성해 전국 초·중·고에 보급된 디지털 기기 관리·활용 실태 전수조사를 진행한다. 전국 디지털 기기 보급부터 유지·관리, 폐기까지 단계별 공통기준과 절차·방법 등을 포괄하는 '디지털 기기 전 주기 관리 지침'을 만든다. 디지털 매체 과노출 예방과 유해 정보 차단 등 사용자를 위한 안전한 기기 관리 지원방안도 마련한다.
나은종 교육부 디지털인프라담당관은 “디지털 기기의 분실이나 파손 시 처리 기준이 시도교육청별로 다르며 예산 상황 등으로 인해 관리가 미흡한 곳도 많다”며 “전북교육청처럼 가이드라인을 잘 만들어 운영하는 시도별 우수 사례를 참고해 교육부 차원에서 가이드라인을 만들 예정”이라고 밝혔다.
허찬영 기자 hcy@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