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에 가난해진 가계…가구 실질소득 7년 만에 최대 감소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1분기 가구 실질소득이 7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명목소득은 늘었지만 물가가 더 큰 폭으로 올랐으며, 대기업 상여금 감소로 실질 근로소득이 2006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통계청이 23일 발표한 '2024년 1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512만2000원으로 1년 전 대비 1.4% 증가했다.

가계소득은 3개 분기 연속 증가했으나 전분기 대비 증가 폭은 크게 둔화됐다. 이는 가장 비중이 큰 근로소득이 상여금 감소 영향으로 1.1% 줄어든 영향이 컸다.

물가를 반영한 가계 실질소득은 전년 대비 1.6% 줄었다. 이는 2017년 1분기(-2.5%) 이후 가장 큰 폭의 감소세다. 실질 근로소득은 3.9% 줄어들며 감소의 주요인이 됐다.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90만8000원으로 전년 대비 3.0% 늘었다. 이자비용 증가로 비소비지출도 1.2% 늘어난 108만6000원으로 집계됐다. 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뺀 월평균 처분가능소득은 1.4% 늘어난 404만6000원, 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을 뺀 흑자액은 113만8000원으로 2.6% 감소했다.

1분기 실질 소비지출은 물가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전년 대비 0.0% 늘었다. 다만 과일 등이 포함된 식료품·비주류음료 지출액은 40만4000원으로 7.2% 증가해 2021년 이후 3년 만에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의류·신발과 주거·수도·광열은 물가상승률을 고려한 실질 소비가 각각 4.1%, 1.0% 각각 감소했고, 전기차 보조금 지급 지연과 지난해의 기저효과로 자동차 구입비가 9.7% 감소했다.

소비지출이 처분가능소득보다 큰 적자가구 비율은 26.8%로 1년 전보다 0.1%포인트(P) 상승했다. 처분가능소득 대비 소비지출인 평균소비성향은 71.9%로 1년 전보다 1.2%P 올랐다.

고소득 가구의 상여금이 감소하면서 소득분배 지표는 개선됐다.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와 소득 상위 20% 가구인 5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각각 115만7000원, 1125만8000원이었다.

상위 20%의 소득을 하위 20%의 소득으로 나눈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1분기 5.98배로 지난해 1분기(6.45배)보다 0.47p 하락했다.

기재부는 “소득분배가 개선되는 모습이지만 공식적인 소득분배 개선 여부는 연간 지표를 통해 판단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최다현 기자 da2109@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