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우주 경제 마중물이 될 우주항공청이 30일 출범과 함께 향후 정책 방향성과 핵심 임무를 제시했다. 이를 통해 우주항공경제의 빠른 성장을 견인해 우주항공 5대 강국 실현에 본격 착수한다.
그동안 국내 우주항공 분야는 우주개발진흥 기본계획 등 중장기 국가전략을 중심으로 발사체, 위성 등의 독자 개발 역량 확보를 주요 목표로 발전해 왔다. 이는 우주 선도국 대비 짧은 연구개발(R&D) 기간에도 불구하고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와 우리나라 첫 달 탐사 궤도선 다누리 등의 성과로 이어졌다.
그럼에도 우리나라는 우주탐사 등 미래 핵심기술 분야에서 선도국 대비 10년 이상의 기술 격차를 보인다. 실제 미국 대비 우리나라 우주탐사 기술 격차는 11.5년에 이른다. 기술을 기반으로 한 우주산업 규모 역시 세계시장 대비 0.7% 수준이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우주항공청은 앞으로 우주항공 전 분야를 주도하는 컨트롤타워로서 핵심기술 수준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림과 동시에, 우주항공 분야를 국가 주력 산업으로 전환하기 위한 정책도 추진한다.
핵심기술 개발을 위한 임무는 우주항공 4대 주요 기술을 중심으로 설정했다.
우선 지상과 우주 사이의 수송체계를 완성하기 위한 핵심 기반으로서 우주수송 기술, 발사장, 제조 역량을 확보한다.
이를 위해 △차세대 발사체 개발 △누리호 반복 발사 및 성능 개량 △재사용 발사체 기술 조기 확보 등 발사체 포트폴리오를 확보한다. 제2우주센터 등 발사장 인프라 구축과 발사 허가 제도 정비 등을 통해 효율적이고 안전한 발사관리 체계 마련도 병행 추진한다. 이는 향후 글로벌 발사 서비스 시장 진출에 속도를 더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과학 임무부터 사회문제 해결, 공공서비스 개선까지 다양한 목적의 위성 개발과 함께 민간 주도 위성정보 활용 생태계도 조성한다. 15㎝급 해상도의 첨단위성 개발과 우주광통신, 우주인터넷, 한국형 위성항법 시스템(KPS) 기반 구축 등 미래 위성 핵심기술을 확보가 목표다.
독자적 심우주 탐사 역량 확보를 위한 '우주탐사 로드맵' 수립에도 착수한다. 로드맵은 향후 △달 착륙선 개발 및 달 기지 확보 등 달 관측·탐사 수행 △화성 탐사를 위한 임무 발굴 △소행성 탐사 추진전략 마련 등의 토대가 될 전망이다.
항공 분야는 하이브리드 미래항공 모빌리티(AAM), 첨단항공엔진 등 개발을 추진한다. 무인기 및 군 수송기 민수화 등 민군협력 및 국제 공동개발 확대, 소재·부품·장비 핵심기술 및 글로벌 환경 규제 대응 기술 확보를 통해 세계 생산 기지화 등이다.
또 글로벌 수준의 민간 주도 우주항공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해 우주항공 기업 대상 펀드 투자 활성화, 우주산업 삼각 클러스터(경남-전남-대전) 조성 등을 추진한다.
국가 우주항공 정책 컨트롤타워로서 우주항공 분야 법·제도 정비 및 정부 투자 확대를 비롯해 대형 국제협력 우주탐사 참여를 위한 중심 역할도 수행할 예정이다. 권역·국가별 대응의 '우주국제협력전략계획' 수립이 그 시발점이 될 예정이다.
윤영빈 초대 우주항공청장은 “우주항공 신산업 창출을 위한 데이터 개방, 제도적·기술적 지원 확대, 공공분야 우주자산 민간 구매·조달 강화 등 '기회의 창'을 개방함으로써 우주항공청이 민간 주도 우주항공 산업 생태계를 앞장서 조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인희 기자 leei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