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집에서 스마트폰 앱으로 수면무호흡증(Sleep Apnea)을 비롯한 코골이를 정확히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총장 이용훈)은 변영재 전기전자공학과 교수팀이 전자기파 기반 센서를 이용한 '복부 부착형 수면무호흡증 진단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이 시스템은 하나의 센서로 각종 바이오 마커 변화를 민감하게 감지한다. 기존 수면센터 검사와 비교해 91% 이상의 정확도로 수면무호흡증을 진단한다.
사용도 간편하다. 작고 가벼워 일상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센서를 복부에 부착하면 스마트폰 앱으로 수면 데이터와 분석 데이터를 제공한다. 센서 작동에서 인공지능(AI) 데이터 분석까지 전 과정을 실시간으로 진행한다.
기존 수면센터나 병원 검사는 여러 센서를 부착한 후 현장에서 자면서 진행하기 때문에 불편함과 비용이 따랐다. 또한 수면 검사는 1년에 한 번만 건강보험이 적용돼 이용에도 제한적이었다.
수면 중 녹음된 소리로 수면 질환 유무를 판독하는 외산 제품과 달리 복부에 부착한 센서로 직접 수면무호흡 여부를 판단한다는 것도 차이점이다.
변영재 교수는 “연구는 실험실에 머물러서는 안 되며 상용화해야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라며 “식약처 승인으로 우리 기술력을 공인받았다. 첨단 바이오 센서 기술로 인류 건강과 삶의 질을 향상하는 연구 상용화에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부산=임동식 기자 dsl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