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팀이 지름이 2.5㎛(마이크로미터) 이하인 초미세먼지 농도가 현재 수준을 유지한다면 2050년에는 조기 사망자가 현재보다 3배 이상 많아질 것이라는 예측연구결과를 내놨다.
포스텍(POSTECH)은 이형주 환경공학부 교수, 석사과정 김나래 씨 연구팀이 초미세먼지와 고령화 속도를 고려해 2050년 사망자 수를 예측하고, 현재 수준의 건강 부담을 유지하기 위한 초미세먼지 농도를 제시했다고 4일 밝혔다.
먼지는 입자의 크기에 따라 총먼지와 미세먼지, 초미세먼지로 나뉘는데, 크기가 가장 작은 초미세먼지는 몸속 깊숙이 침투해 여러 질병을 유발한다. 특히 65세 이상 고령층이 이에 더 취약하다고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우선 2019년부터 2021년까지의 초미세먼지 데이터를 사용해 3년간의 초미세먼지 평균 농도를 계산했다. 초미세먼지의 영향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팬데믹 영향을 제외하고자 팬데믹 이전과 이후 기간을 포함했다.
2019~2021년 우리나라 평균 초미세먼지 농도는 약 20μg/m³이다. 이는 환경부의 연간 대기환경기준인 15μg/m³보다 높고, 세계보건기구(WHO) 권고 수준인 5μg/m³를 한참 상회하는 수치다. 또, 연구팀은 인구주택총조사와 장래인구추계 데이터를 통해 2020년 16%에 불과했던 고령층 인구가 2050년에는 40%로 증가할 것이라는 결과를 얻었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팀은 초미세먼지로 인한 사망자 수를 예측하는 시나리오를 설계했다. 시나리오 분석 결과, 초미세먼지 농도가 최근 3년간의 평균 수준인 20μg/m³로 유지되면 2050년 사망자는 약 11만 명에 이르며, 이는 2020년 사망자 수인 3만 4000명의 3배에 해당하는 수치다. 환경부 연간 대기환경기준인 15μg/m³로 초미세먼지 농도를 낮추더라도 2050년 사망자는 약 8만 4000여 명일 것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또 연구팀은 2050년의 사망자 수가 2020년 수준과 같아지려면 초미세먼지 농도를 6μg/m³까지 줄여야 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전체 인구수는 감소하지만, 초미세먼지에 취약한 고령층 비율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어 초미세먼지 농도를 현재 정책보다 훨씬 더 많이 줄여야 사망자와 공중 보건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형주 교수는 “급격한 고령화로 인해 건강 취약계층이 증가하면서 초미세먼지로 인한 공중 보건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라며, “2050년까지 같은 수준을 유지하려면 초미세먼지 농도를 연간 기준의 약 40% 정도로 감축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 한국연구재단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지원으로 진행된 이번 연구결과는 최근 환경 분야 국제 학술지인 '환경 연구 (Environmental Research)'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포항=정재훈 기자 jho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