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공공 무인정보단말기(키오스크) 5000여대를 내년 상반기까지 디지털 약자 친화형으로 교체한다.
3일 서울시는 시, 자치구, 공사와 공단, 출자·출연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전체 키오스크 현황을 파악하고 장애인·고령자 접근성·편의성을 고려한 제품으로 우선 교체할 예정이다.
서울시가 파악하고 있는 전체 공공 키오스크 수량은 약 5371대이다. 이중 서울시가 108대, 서울교통공사 등 시 산하기관에 3684대, 자치구와 구 산하기관에 각각 943대, 636대가 설치됐다.
이중 교체가 필요한 수량으로 보는 것이 전체 키오스크의 81.9%에 해당하는 4401대다.
시는 전수조사로 현황을 파악한 이후 순차적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관련 고시에 따른 접근성 검증기준을 통과한 제품으로 교체하거나 관련 소프트웨어(SW)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개선할 방침이다.
휠체어 장애인을 위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거나 음성, 전자 안내 등 기능이 제공되거나 고령층을 위해 보다 큰 글씨에 복잡하지 않은 공공 키오스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이다.
서울시가 장애인, 고령자 대상 정보 접근성을 높이겠다는 정부 방침에 약 1년 앞서 키오스크 교체에 나선 것이다.
앞서 정부는 장애인, 고령자의 정보 접근과 이용 편의를 높이기 위해 지난해 1월 28일 '장애인차별금지법 시행령 개정에 이어 올해 초 '지능정보화기본법'을 개정했다. 장애인과 고령층이 이용하는 키오스크와 모바일 응용 소프트웨어에 대한 장애인 접근성을 제고하는 것이 핵심이다.
올해 1월 28일부터 공공기관부터 우선 시행하고 민간부문은 규모에 따라 단계적으로 적용할 예정이다. 다만 법 시행일 이전에 설치된 키오스크는 2026년 1월 28일까지 2년간 적용이 유예됐다.
서울시는 디지털 환경 변화 속도가 빨라지면서 장애인, 고령자 등 소외된 디지털 약자에 대한 포용 정책이 시급하다는 진단이다.
특히, 공공 키오스크 접근성 확대는 오세훈 서울시장이 내세운 '6대 디지털 기본권' 중 디지털 활용 기본권에 해당한다.
오 시장은 지난 달 말 열린 '한국IT서비스학회' 2024 춘계학술대회 기조강연에서 '6대 디지털 기본권'을 제시했다. 이는 약자와의 동행이라는 시정 철학을 사람 중심 스마트도시에 적용한 개념이다.
박진영 서울시 디지털정책관은 “시민 누구나 소외되는 일 없이 6대 분야 디지털 기본권을 갖고 기본적 디지털 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 서울시 방침”이라며 “올해 서울시의 공공 키오스크 현황을 면밀하게 파악하고 가이드라인을 만들고 예산부서와 잘 논의해 내년 계획에 반영해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명희 기자 noprint@etnews.com
-
김명희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