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계 전면 휴진 예고, 커지는 집단행동…환자 단체 '우려'

임현택 대한의사협회(의협) 회장이 9일 오후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에서 열린 전국의사대표자대회에서 투쟁선포문을 읽고 있다.
임현택 대한의사협회(의협) 회장이 9일 오후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에서 열린 전국의사대표자대회에서 투쟁선포문을 읽고 있다.

대한의사협회(의협)가 오는 18일 전면 휴진하고 총궐기대회를 개최한다고 9일 밝혔다. 의협은 지난 2월부터 시작된 의정 갈등 사태에서 처음 집단 행동에 나선다. 서울대병원 교수들도 17일부터 전면 휴진에 나서겠다고 밝혀 의료대란이 우려된다. 환자단체는 환자들을 볼모로 한 집단행동 계획을 철회하라고 비판했다.

임현택 의협 회장은 이날 “의료계가, 14만 의사들이 정부와 여당에 회초리를 들고, 국민과 함께 잘못된 의료정책을 바로잡을 결정적 전기를 마련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의협은 정부가 올해 진행하는 2025년도 증원 절차를 중단해야 집단행동을 멈추겠다고 밝혔다.

최안나 의협 총무이사 겸 대변인은 “현재 진행되는 2025년도 증원 절차 중단과 함께 잘못된 정책을 인정하고, 책임있는 정책 입안자들에 대한 파면 등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이어 “지금 진행되는 증원 절차는 위법적으로 밀어붙인 것”이라며 “우리 목적은 휴진이 아니라 정부에 근거없이 폭정 중단에 있고, 정부가 오늘이라도 입장 변화를 보이면 걱정하는 대규모 진료 휴진 사태는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영태 서울대병원장 만류에도 서울대병원 교수들은 17일부터 전면 휴진에 나서겠다는 의지를 이날 재차 밝혔다. 서울대학교병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강남센터 등 4개 병원에서 휴진을 진행한다.

강희경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장은 “우리가 지금 침묵한다면 정부는 국민 자유의지를 억압하는 데에 더욱 거리낌이 없어질 것”이라며 “이번 사태를 통해 드러난 그간의 비정상적인 진료 형태를 유지하면서 상황이 나아지기만을 기대하지 말고, 바람직한 의료체계를 실천해 전공의와 의대생이 복귀할 수 있는 조건을 만들어 달라”고 촉구했다.

전국의과대학 교수 비상대책위원회(전의비)도 의협의 집단행동 방침에 따를 것이라고 밝힌 바 있어 의료계 집단행동은 더 커질 가능성이 높다. 다만 의협은 일단 18일 하루 집단 휴진을 하고, 19일 이후 방침은 뚜렷하게 밝히지 않았다.

최 대변인은 “19~20일 휴진할지는 정부에 달려 있다”면서 “전 직역과 논의해 정부 입장변화를 이끌어 내겠다”고 말했다.

이 같은 의사단체 집단행동 에고에 환자 단체는 강하게 반발했다.

한국중증질환연합회는 의협 집단행동을 두고 환자와 국민 생명을 담보로 집단의 이익을 위해 본분을 망각한 이기적인 몰염치한 결정이라며 즉각 철회하길 촉구한다고 비판했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도 의협과 의대 교수들이 집단행동에 나설 것이 아니라 전공의 복귀를 독려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송혜영 기자 hybrid@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