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동해 가스전 시추 착수비 120억원 우선 확보

한국석유공사가 앞서 상업 생산에 성공한 동해 가스전 모습. 한국석유공사 제공
한국석유공사가 앞서 상업 생산에 성공한 동해 가스전 모습. 한국석유공사 제공

정부와 한국석유공사가 동해 심해 가스전 첫 탐사 시추와 관련해 우선 올해까지 들어갈 '착수비' 약 120억원을 확보했다.

14일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와 석유공사는 첫 탐사 시추를 위한 착수금 성격의 예산 약 120억원을 마련했다.

60억원은 정부가 올해 석유공사에 출자한 481억원 중 일부를 활용하는 방식으로 마련했고, 나머지 약 60억원은 석유공사 자체 자금을 활용한다.

정부는 올해 12월부터 4개월간 1000억원가량을 투입해 7개의 유망구조 중 1곳에서 탐사 시추를 할 예정이다. 당장 올해 들어갈 자금은 착수비 성격의 약 120억원이며, 나머지 900억원에 가까운 자금은 첫 탐사 시추 작업이 마무리되는 시점인 내년에 지급될 예정이다.

약 20%의 성공률을 고려했을 때 향후 5년간 최소 5개의 시추공을 뚫어야 할 것으로 예측된다. 시추공 1개에 약 1000억원씩, 5000억원가량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산업부는 기획재정부 등 관계 부처와 협의해 공기업인 석유공사에 성공불융자를 재개하는 방안을 추진할 방침이다.

한편, 시추 탐사가 본격화하는 내년 이후 예산 확보 여부에 이목이 집중된 가운데 야당은 정보 공개가 충분히 이뤄지지 않는 상황에서 시추 예산과 관련해 협조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이날 황정아 대변인은 서면브리핑에서 “정부는 액트지오가 내놓은 '최소 35억∼최대 140억배럴이라는 수치에 대해 국내외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의 검증을 받았다고 했지만, 막상 국책연구기관인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이와 관련해 기초 데이터도 분석하지 못했다고 한다”고 지적했다.

이준희 기자 jhle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