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산업 육성을 위해 민간기업과 힘을 합친다. 아직 서비스 시장이 본격적으로 성장하지 못하고 있지만 글로벌 전기차 보급이 확산되면서 미래 유망산업으로 주목받고 있어서다. 정부는 민관협력을 통해 배터리 서비스 산업을 신성장동력으로 키우겠다는 목표다.
정부는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산업 육성 간담회를 개최하고 18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개최하고 민·관 공동 협의체 출범식을 진행했다.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Baas·Battery as a Service)는 배터리가 전기차에 탑재된 이후부터 충전, 정비·교체, 탈거·운송, 재제조·재사용·재활용까지 생애주기 전반에 걸쳐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게 목표다.
아직 국내에서는 관련 제도가 미비하고 확실한 사업 모델이 없는 만큼 소수 업체가 시범사업 위주로 진행하고 있어 초기단계로 평가된다. 하지만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시장은 전기차·배터리와 함께 지속적인 성장이 전망된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오는 2030년 글로벌 전기차 수요는 5901만대로 사용후 배터리 발생량은 338GWh로 추산된다.
이 같은 기대를 담아 업계는 8대 유망 사업 모델을 이날 열린 간담회에서 발표했다. 유망 사업모델은 △전기차 배터리 성능 진단 △전기차 및 전기이륜차 배터리 구독 및 교체 서비스 △탄소 크레딧 거래 서비스 △재제조 배터리 진단 및 평가 서비스 △이동형 충전 서비스 △전력 거래 플랫폼 서비스 △배터리 회수·운송·보관 로지스틱스 서비스 △금융 서비스 등이다.
특히 배터리 성능진단 분야의 경우 불량 검출이나 이상 판단 등 전기차 배터리 전주기에 필수적인 서비스다. 성능·진단 소요시간을 단축시킨다면 중고차 가격 산정이나 서비스 가격 경쟁력을 제고하고 사용자용 맞춤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해 배터리 기대 수명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국토교통부,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등 3개 부처는 업계와 함께 '민·관 공동 협의체'를 공식 출범했다. 협의체는 애로사항을 확인하고 해결하는 상시 소통 창구로 역할을 할 계획이다. 또 산업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성능 평가, 운송·보관 등 공통 기준 마련, 배터리 교체, 이동형 충전 등 유망 서비스 모델에 대한 실증 사업도 추진한다.
백원국 국토부 제2차관은 “전기차 배터리 산업이 본래 목적인 전기차 동력원으로 역할에서 나아가 다양한 서비스 사업으로 외연을 확장할 필요가 있다”며 “국민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전기차와 배터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함께 힘을 합쳐 정책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날 간담회는 국토부, 산업부, 환경부 등 3개 부처가 공동 주재하고 LG에너지솔루션, 현대자동차, SK온 등 16개 민간기업과 협회가 참석했다.
박효주 기자 phj20@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