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북미-유럽-아시아 잇는 '히트펌프 R&D 트라이앵글' 구축

LG전자가 고성능 차세대 히트펌프 핵심기술 개발을 위해 북미-유럽-아시아를 잇는 글로벌 연구개발(R&D) 트라이앵글을 구축한다. 지역별 기후특성과 가옥구조 등을 고려한 차세대 히트펌프 연구개발 인프라를 확보하기 위한 차원이다.

LG전자는 18일(현지시간)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차세대 냉난방공조(HVAC) 제품에 적용할 히트펌프 기술 개발을 위한 '유럽 첨단 히트펌프 연구 컨소시엄(ECAHR)' 협약식을 개최했다.

탄야 스토르슬 오슬로 메트로폴리탄대 부총장(왼쪽)과 이재성 LG전자 에어솔루션사업부장 부사장이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유럽 첨단 히트펌프 연구 컨소시엄' 협약식을 가졌다.
탄야 스토르슬 오슬로 메트로폴리탄대 부총장(왼쪽)과 이재성 LG전자 에어솔루션사업부장 부사장이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유럽 첨단 히트펌프 연구 컨소시엄' 협약식을 가졌다.

컨소시엄에는 한랭지 난방·공조 연구가 활성화된 오슬로 메트로폴리탄대학, 노르웨이 과학기술대학, 이탈리아 나폴리 페데리코 2세 대학이 참여한다.

LG전자는 8월에는 중국 유수 대학과 손잡고 하얼빈에 한랭지 히트펌프 연구소를 구축할 예정이다. 앞서 지난해 11월에는 미국에 LG 알래스카 히트펌프연구소를 세웠다.

LG전자가 한랭지역 중심으로 히트펌프 연구 네트워크를 형성한 것은 한랭지에서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력이 줄어 난방 성능을 높이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오슬로 메트로폴리탄 대학과는 히트펌프 성능 평가와 환경을 분석한다. 노르웨이 과학기술대학과는 히트펌프 사이클 분석과 성능 개선에 협업한다. 나폴리 대학과 기존 가스 보일러와 히트펌프를 연동한 제어 등을 연구한다.

미국 LG 알래스카 히트펌프 연구소에서는 눈, 비, 극저온 등 다양한 환경조건을 반영해 장시간 반복 테스트를 실시한다. 이 과정을 거쳐 난방 성능은 물론 전반적인 품질과 신뢰성 등을 높일 것으로 기대했다.

오슬로 메트로폴리탄 대학교 내 한랭지 실증 테스트 실험실 전경.
오슬로 메트로폴리탄 대학교 내 한랭지 실증 테스트 실험실 전경.

이재성 LG전자 H&A사업본부 에어솔루션사업부장 부사장은 “세계 각지 기후 환경에 맞는 차세대 히트펌프 기술을 개발해 글로벌 HVAC 시장에서 LG전자 영향력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앞서 조주완 LG전자 CEO는 가정·상업용 냉난방공조 사업에서 2030년까지 매출을 두 배 이상 성장시켜 글로벌 톱티어 종합공조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배옥진 기자 witho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