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윤 “제약·바이오 산업 혼란, 기업 사회적 책임 가져야”

급변하는 의료 환경과 고령화 등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헬스케어 업계가 사회적 책임을 갖고 기술혁신을 추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기업의 본질적인 목적인 영리추구를 넘어 공익을 위한 사회적 기여에 집중하고, 정부도 규제 개선을 통해 지원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임종윤 한국미래의료혁신연구회 공동대표는 19일 열린 제2회 정기 세미나에서 “최근 의료계와 제약·바이오 생태계가 몸살을 앓고 있다”면서 “이런 상황에서 우리가 되짚고 가야 할 게 사회적 책임, 사회적 기업, 공익성”이라고 밝혔다.

지난 19일 서울 신사동 안다즈에서 열린 한국 미래의료 혁신연구회 제2회 정기 세미나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했다. 앞줄 왼쪽부터 한지아 국민의힘 의원, 김윤 더불어민주당 의원,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 임종윤 한국 미래의료 혁신연구회 공동대표, 강대희 공동대표(서울대 의대 교수), 안도걸 더불어민주당 의원, 박수민 국민의힘 의원, 최수진 국민의힘 의원.
지난 19일 서울 신사동 안다즈에서 열린 한국 미래의료 혁신연구회 제2회 정기 세미나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했다. 앞줄 왼쪽부터 한지아 국민의힘 의원, 김윤 더불어민주당 의원,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 임종윤 한국 미래의료 혁신연구회 공동대표, 강대희 공동대표(서울대 의대 교수), 안도걸 더불어민주당 의원, 박수민 국민의힘 의원, 최수진 국민의힘 의원.

임 공동대표는 “새로운 것을 시도하다 보면 관습과 관행에서 오는 공격이 많은데, 이것이 바뀌어야 의료개혁이나 새로운 정책, 새로운 아이디어가 빨리 전달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의사 파업 등 사회 갈등과 의료 환경 변화에 헬스케어 업계가 사회적 책임감을 갖고 문제 해결을 위해 나서야 하며, 이를 위해선 기존 틀을 깨는 기술 혁신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고령화와 같은 국가적 문제에도 헬스케어 업계가 적극 뛰어들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특히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빅데이터에 기반한 개인 맞춤형 디지털헬스케어 서비스를 육성, 고령사회 대응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황희 카카오헬스케어 대표는 “우리나라 당뇨환자가 600만명이고, 전 당뇨 환자가 1500만명으로 사실상 전체 성인 인구 절반이 당뇨 문제를 갖고 있다”면서 “고령화 사회에 노동력 상실 문제가 커지는데 젊은 당뇨 환자까지 급증하면서 이 문제는 국가적 아젠다로까지 부상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의료 패러다임이 바뀌었다고 하지만 여전히 의료 자원을 치료 영역에만 집중하고 있다”면서 “고령화에 대응해 만성질환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디지털헬스케어 서비스를 활용해 예방과 치료 후 관리 영역에도 자원을 투입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정치권에서도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헬스케어 산업 중요성을 인지, 규제 개선 등 기업 지원에 나설 것을 약속했다.

최수진 국민의힘 의원은 “의료·소득·지역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선 과학 기술 힘을 빌릴 수밖에 없다”면서 “의료 빅데이터나 인공지능(AI) 등 기술을 적용해 국민의 삶을 상향 평준화하도록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안도걸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바이오산업은 미래 대한민국을 먹여 살리는 산업이 됨과 동시에 고령사회에 가장 중요한 보건 의료 서비스를 뒷받침할 핵심 요소”라며 “보건 의료 서비스 질이 곧 국민 삶의 실을 결정하는 만큼 산업 육성을 적극적으로 돕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지난 3월 출범한 한국 미래의료 혁신연구회는 미래 사회 보건의료 정책과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술혁신을 연구하는 단체로, 미래의료 혁신정책 싱크탱크 역할을 하고 있다. 지난 4월 첫 세미나에선 '헬스케어 4.0'을 주제로 논의했다.

정용철 기자 jungyc@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