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 파업, 수련 병원 74%가 '비상경영체제' 선언

의사 진료거부 사태가 4개월 넘게 이어지면서 전공의 수련병원 10곳 중 7곳 이상이 비상경영 체제에 들어갔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은 4월 24일∼5월 22일 총 113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현장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지난달까지 의사 진료거부 사태 여파로 비상경영을 선포한 의료기관은 총 52곳이라고 24일 밝혔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조합원들이 지난 19일 오전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의협을 상대로 보건의료노동자의 노동기본권 보장을 위한 교섭을 촉구하고 있다.(자료: 연합뉴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조합원들이 지난 19일 오전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의협을 상대로 보건의료노동자의 노동기본권 보장을 위한 교섭을 촉구하고 있다.(자료: 연합뉴스)

전공의 수련병원인 국립대병원과 사립대병원 47곳 중 비상경영을 선포한 곳은 35곳(74.5%)이다. 비상경영 선포 후 △병상 운영 효율화 △인력 운영 효율화 △비용 절감 등이 시행되고 있다.

병상 운영 효율화는 일반병동 통폐합·축소, 중환자실 병상 축소 운영, 수술실·회복실 통폐합 운영, 진료과 축소 운영, 병상수 조정, 긴급치료병상 확충계획 보류 등을 말한다.

인력 운영 효율화를 위해 인력 동결과 한시적 정원 감축, 정규직 신규직원 채용 중단·발령 유예, 무급 휴가제, 진료지원인력(PA) 확대 등이 이뤄졌다. 비용 절감 방안으로는 시설투자 지연·중단, 장비구입 최소화, 신규사업 축소·연기, 연차휴가 사용 확대, 시간외근무 제한·통제, 연장근로에 대한 보상휴가제 시행, 근무 시간 단축, 야간근로·당직 근무 축소 등이 시행됐다.

보건의료노조는 “극심한 자금난으로 건강보험 청구 주기를 단축하거나 월 200억원이 넘는 차입경영을 시행하는 곳도 있었고, 계약 시기와 구매 일자를 조정하거나 재료비와 약품, 공사 대금을 연기하는 조치도 시행됐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보건의료노조는 환자와 노동자들이 피해자가 되는 것을 더는 방치하지 않을 것”이라며 “6월 내 진료 정상화가 이뤄지지 않으면 전면 투쟁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정용철 기자 jungyc@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