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배터리 공장 화재 대응 매뉴얼 만들어야

25일 경기도 화성 리튬전지 공장 화재 현장에서 관계자들이 화재 원인을 찾기 위한 합동 감식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25일 경기도 화성 리튬전지 공장 화재 현장에서 관계자들이 화재 원인을 찾기 위한 합동 감식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규모 사상자를 낸 경기도 화성 리튬574 일차전지 공장 화재는 반복돼서는 안 되는 대형 참사다. 특히 배터리 핵심 소재인 리튬의 화재 위험성에 대해 철저히 대비하지 못한 인재라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어 면밀한 사후 대책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리튬 화재에 대한 별도의 대응 매뉴얼이나 안전기준이 없다는 점은 치명적이다. 리튬은 상온에서 순 산소와 결합해도 발화하지 않고, 일차전지의 경우 화재 위험성이 작은 것으로 여겨져 그동안 '일반화학물질'로 분류해 왔다. 그러나 이번에 확인됐듯 일차전지라도 하더라도 불이 나면 연쇄 폭발이 일어나 대형 참사로 이어질 수 있어 안전관리를 강화해야 할 필요성이 커졌다.

리튬은 매우 높은 온도에 노출되거나 수증기와 접촉하면 폭발하면서 그 위력이 커진다. 이번 화성 화재도 단 1개의 리튬 배터리에서 시작했지만, 불이 다른 배터리로 옮겨 붙으면서 피해 규모가 커졌다.

'금속화재'에 대한 경각심과 사전 대비도 제고해야 한다. 리튬과 같은 가연성 금속이 원인인 금속화재는 백색 섬광이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 진압된 것처럼 보여도 1000도의 이상 고온을 유지하는 경우가 많아 위험하다. 이런 경우 물을 뿌리는 것이 아니라 마른 모래와 팽창 질소와 같은 맞춤형 소화재로 불을 진압해야 한다. 하지만 이번 화재에서 정밀한 대처가 이뤄졌는 지도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

문제는 리튬을 핵심 소재로 하는 배터리가 실생활 곳곳에 더욱 확산될 것이라는 점이다. 전기차와 휴대폰, 노트북은 물론 에너지저장장치(ESS151)도 모두 리튬이온 배터리를 탑재하고 있다. 2022년 카카오톡 먹통 사태를 유발한 데이터센터 화재도 리튬이온 배터리가 원인으로 지목됐었다.

이번 화재는 중소기업에서 발생했지만, 더 큰 규모의 공장에서 발생할 경우 경제·산업적 피해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세계 배터리 시장을 주도하는 우리 기업들은 안전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 생산은 물론 사용 및 사용후 처리 과정까지 망라한 전주기적 안전 관리 방안을 만들어야 한다.

정부는 그동안 소홀하게 여겨왔던 일차전지 안전성과 위험물 관리에 대한 빈틈을 찾아 제도적인 정비에도 만전을 기해야 한다. 리튬 배터리의 안전한 저장과 취급 절차를 만들고, 화재 발생 초기에 진압할 수 있는 자동 소화 시스템 구축을 의무화하는 것도 검토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