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M&A로 핵심 경쟁력 강화”…학계 연구 잇따라

카카오 로고 〈자료 카카오〉
카카오 로고 〈자료 카카오〉

카카오가 그동안 단행한 인수합병(M&A)이 플랫폼으로서 핵심 사업 역량을 강화하는데 기여했다는 연구 결과가 이어지고 있다. 카카오가 '문어발식' 사업 확장으로 업역을 침해한다는 비판을 받은 것과 달리 과감한 M&A로 근원적인 사업 경쟁력을 높이고 이용자와 동반성장을 추구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경영학회의 KBR저널에 게재된 '디지털 플랫폼 생태계 내에서의 M&A 활동 유형 분류에 관한 연구'에는 카카오가 기술·인재·지식재산권(IP) 등을 확보해 기업 경쟁력을 높이는 목적으로 인수합병을 진행했다고 평가했다.

연구진은 “인수합병한 기업을 카카오의 조직 프로세스에 통합하기보다 독립성을 유지하며, 자체적으로 사업을 영위하게 한 사례가 많은 것이 카카오 M&A 특징”이라고 분석했다.

한국경영학회 경영학연구에 게재된 '디지털 플랫폼 기업의 유형 분류 및 진화 경로 분석'에선 카카오가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결해 타 기업에도 혁신을 지원하는 'ㅁ'자 모형의 기업으로 성장했다고 분석했다. 연구진은 분석을 위해 국내에서 영업 중인 국내외 디지털 플랫폼 기업 35개사를 선정했다. 카카오는 이 중 유일하게 ㅁ자 유형의 기업으로 분류됐다

연구진은 카카오에 대해 “사용자에게 온·오프라인 상품을 연결해 편의성을 높이고, 개인이나 기업은 카카오의 개발 도구, 클라우드 인프라 등 다양한 기술 자원을 활용해 새 온·오프라인 상품 혁신을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연구들이 주목한 건 카카오의 M&A 효과다. 연구진들은 M&A에 따른 양적 성장에만 집중하지 않았다. 이들은 오히려 M&A로 카카오가 플랫폼으로서 핵심 경쟁력을 강화했고, 결과적으로 이용자 후생을 높였다고 분석했다.

디지털 플랫폼 기업의 진화유형 분석결과 〈자료 서강대학교 메타버스 플랫폼 서비스경영 연구센터〉
디지털 플랫폼 기업의 진화유형 분석결과 〈자료 서강대학교 메타버스 플랫폼 서비스경영 연구센터〉

전문가들 또한 정보기술(IT), 플랫폼, 콘텐츠 기업이 성장하기 위해 M&A가 필수 전략이라고 강조했다. 국내 기업이 IP를 확보하기 위해선 투자를 지속할 수밖에 없고, 다양한 콘텐츠와 채널로 확장하기 위해 M&A가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이지영 스타트업얼라이언스 전문위원은 한국미디어경영학회가 지난달 31일 개최한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생태계 확장 전략'에서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 가장 중요한 자원인 IP 확보를 위해 M&A는 당연한 전략이자 과정”이라고 말했다.

전성민 가천대 경영학부 교수는 지난해 2월 열린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산업변화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 생태계 영향' 콘퍼런스에서 “웹툰을 원작으로 한 드라마가 인기를 얻으면 다시 웹툰이나 웹소설이 인기를 끄는 선순환이 이뤄지는데, 이런 환경에서 카카오가 영상 제작사인 크로스픽처스 같은 회사를 인수하는 걸 '대기업이 문어발식으로 확장'하는 것과 같은 기준으로 볼 수 있는가”라고 반문했다.

강형구 한양대 파이낸스경영학과 교수는 “천문학적인 영향력을 가진 디지털 콘텐츠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플랫폼의 플랫폼'이 나와야 한다”면서 “디지털 콘텐츠 기업이 적극적인 M&A로 밸류체인을 통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변상근 기자 sgby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