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A '디지털 트윈' SaaS화, 해외 수출 모델 만든다

NIA CI
NIA CI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하반기 디지털 트윈 사업을 확대한다.

NIA는 '범정부 디지털 트윈 종합계획'에 따라 디지털 트윈 기술을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로 구축해 지자체 확산 기반을 마련하고, 디지털 트윈 수출 모델도 설계한다고 30일 밝혔다.

또 디지털 트윈 활성화 후속 전략도 수립 중이며, 하반기 내 발표할 예정이다.

디지털 트윈은 실제 사물의 물리적 특징을 가상 공간에 옮겨 3차원 모델로 구현하는 기술이다. 현실과 동기화를 거쳐 관제, 분석이 가능해 가상 공간에서 시뮬레이션으로 실제 의사 결정에 활용할 수 있다.

NIA는 지난 2021년부터 디지털 트윈 사업을 시작했다. 지자체 특성에 맞게 디지털 트윈 서비스를 제공했지만 다른 지자체로 서비스 연동은 이뤄지지 않았다.

NIA는 올해 하반기에 해양·대기오염·갯벌관리 등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디지털 트윈 기술에 민간 클라우드를 접목해 SaaS로 개발할 예정이다.

디지털 트윈 SaaS 사업은 사업화가 어려운 디지털 트윈 사업의 단점을 보완한다. 사업성을 높여 공공 영역에서 디지털 트윈 엔진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 지자체는 디지털 트윈 SaaS 구독으로 해양·대기오염·갯벌관리를 할 수 있다.

NIA는 디지털 트윈 해외 수출 모델도 준비 중이다.

미세먼지·침수·교통 등 다양한 실시간 지역 데이터, 그동안 쌓은 기술과 레퍼런스를 집중해 디지털 트윈 시범 구역을 선정하고 있다. NIA는 이를 해외 수출 모델로 삼겠다는 방침으로 올해 관련 예산 100억원이 신규 편성됐다.

현재 도시형과 농어촌형 컨소시엄이 구성돼 있다. 지역별로 1년에 최소 4개 이상 디지털 트윈 서비스를 구축, 3년 동안 지역 당 12개 이상 디지털 트윈 서비스를 구현할 계획이다.

NIA는 각 지자체가 정보를 교류할 수 있는 디지털 트윈 매칭 플랫폼도 운영 중이다. 지자체가 새로운 디지털 트윈 서비스를 기획 할 때 기존에 사업이 추진된 사례를 확인할 수 있고, 필요한 기술력을 가진 기업을 확인할 수 있다.

NIA 관계자는 “지자체가 자연 재해나 사회 문제를 디지털 트윈으로 미리 대응하고,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며 “디지털 트윈 확산으로 더 많은 지자체에서 혜택을 누릴 수 있게 지원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박두호 기자 walnut_par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