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이 제작한 결과물 등에 대한 정보 공개를 요구하는 글로벌 빅테크가 늘고 있다
4일 영국 총선, 11월5일 미국 대선 등 선거를 앞두고 AI 생성물이 선거에 악용될 것으로 우려되기 때문이다.
1일(현지시간) 로이터에 따르면, 구글은 사람이나 사건을 실제처럼 묘사하는 선거 광고가 디지털 방식으로 제작한 것인지 여부를 공개하도록 의무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정치 마케터 등은 캠페인 설정의 '변경된 콘텐츠 또는 합성 콘텐츠' 섹션에서 체크박스를 선택해야 한다.
유튜브는 지난 달 사람들이 자신의 얼굴이나 목소리를 모방하는 AI 생성물 등 합성 콘텐츠의 게시 중단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을 발표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유튜브 개인 정보 보호 요청 절차에 따라 이러한 유형의 AI 콘텐츠 삭제를 요청할 수 있게 됐다.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을 운영하는 메타는 5월부터 AI를 이용해 제작·편집한 것으로 자체 분석한 게시물에 '메이드 위드 AI(Made with AI)' 라벨을 붙이기 시작했다.
이러한 글로벌 빅테크의 결정은 올해 열리는 선거로 인해 미국은 물론 유럽연합(EU)의 압박이 심해지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지난 3월 흑인들이 트럼프 후보를 지지하는 것처럼 묘사한 딥페이크 이미지가 수십 장 발견돼 화제가 됐다.
최근 총선을 진행한 인도 역시 AI 딥페이크로 곤혹을 치렀다.
인도 발리우드 인기 스타 두 명이 나렌드라 모디 총리를 비판하고 야당을 응원하는 영상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확산돼 논란이 불거졌다.
숀텔 브라운 민주당 하원의원은 최근 AI가 만들어낸 잘못된 선거 정보로부터 유권자를 보호하기 위한 법안을 발의하며 “선거가 안전하게 진행되고 유권자의 권리가 보호하기 위해 AI 생성 콘텐츠에 대한 감독과 규제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현대인 기자 modernman@etnews.com
-
현대인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