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사는 노후 대비 자산 관리 서비스와 고령층 대상 서비스를 확대하고, 해외 진출 경로를 다각화 하는 등 금융산업의 영역을 확장해 나가야 합니다.”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8일 은행회관에서 열린 '미래의 거대 트렌드가 가져올 금융의 변화' 세미나 기조연설에서 저출산·고령화 등 인구구조 변화를 맞아 이와 같이 제언했다.
김 부위원장은 인구구조 변화가 부양비 상승과 성장 둔화 가능성을 높이고, 이로 인해 금융시장 및 산업 침체가 일어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했다. 고령층의 노후 현금 흐름이 부족한 상황에서 요양·의료·연금 등 늘어나는 금융서비스 수요에 대한 금융 산업의 대응이 필요하다는 점도 언급했다
김 부위원장은 “인구구조 변화를 기회로 삼아, 금융산업이 수익모델을 다양화함과 동시에 생애주기별 상품을 확대하는 등 '고객의 일상 속 동반자'로서 금융산업의 새로운 역할을 모색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더불어 청년층의 주택 마련과 결혼·출산 등을 위한 금융지원을 통해, 출산률 반등과 생산연령 인구 증가를 도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밖에 기술혁신과 관련, 인공지능(AI)를 필두로 하는 핀테크 고도화, 금융·비금융 융합 가속화 등은 '금융이 반드시 살려야 할 기회'라며 강조했다.
김 부위원장은 “금융권 AI 신뢰도 제고, 데이터 보안과 사고 방지 등 리스크를 최소화하면서, 금융권이 신기술을 활용할 수 있도록 망분리 규제를 개선하고, 양질의 데이터 확보를 지원하는 등 기술 인프라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마지막으로 “그동안 금융당국은 급변하는 금융환경에 기민하게 대응해야 하는 여건으로 인해 주로 긴급한 이슈에 집중하였으나, 금융정책이 구조적·거시적 변화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중장기적인 시각과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형두 기자 dudu@etnews.com
-
이형두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