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클라우드 전환 예산이 줄면서 공공 서비스형 인프라(IaaS)와 클라우드지원서비스(컨설팅·마이그레이션·운용 등) 계약 규모가 줄고 있다.
8일 디지털서비스 이용지원시스템에 따르면, 공공시장이 올해 상반기 체결한 계약 규모는 약 469억원이다.
상반기 기준으로 2023년 1447억원, 2022년 350억원으로 올해 계약 체결 규모는 크지 않은 편이다.
우선, 정부의 클라우드 전환 예산이 대폭 줄었다.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으로 정책 기조가 바뀌면서 행안부 주도 대규모 클라우드 전환 사업이 희박해진 영향이 크다.
지난 2022년 행안부의 공공 클라우드 전환 사업 예산은 1786억원, 2023년 342억원으로 20% 수준으로 삭감됐다. 올해는 758억원으로 편성됐으나 클라우드 네이티브로 전환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
세부적으로 상반기 기준 IaaS 계약 체결은 2022년 248억, 2023년 663억, 올해 342억원이며, 클라우 관리 서비(MSP) 사업이 주로 포함된 클라우드지원서비스 사업도 같은 기간 2022년 74억원, 2023년 764억원, 올해는 73억원에 불과하다.
지난해에는 2022년에 책정된 대규모 공공 사업이 이월돼 계약 규모가 컸다. 이를 감안하면 사실상 올해 계약 체결 규모는 2022년보다 적은 것이다. 이처럼 클라우드 전환 관련 예산이 줄면서 IaaS와 클라우드지원서비스에서 공공 사업 규모가 줄고 있다.
반면 공공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도입은 활발해지고 있다.
올해 상반기 기준 SaaS 계약 체결 규모는 전년과 비교해 3배 커졌다. 상반기 기준, 2022년 22억, 2023년 16억, 2024년 49억원이다.
공공에서 사용할 수 있는 SaaS 품목이 늘었고, 지난해 상용 소프트웨어(SW) 직접구매(분리발주) 제도 개선으로 공공에서 편리하게 SaaS를 조달할 수 있게 됐다. SaaS 도입이 활성화되면 IT 운영 조직을 갖추지 않아도 필요한 서비스를 빠르게 도입할 수 있다.
SaaS 모델은 초기 투자 비용이 적어 공공은 예산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유연한 IT 환경 구축이 가능하다.
SW 업계 관계자는 “처음 2025년까지 클라우드 전환 목표를 세울 때 1조가량 예산을 투자하기로 했는데,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략으로 바뀌고, 정부 기조도 변경되면서 공공 예산이 확 줄었다”며 “올해 하반기도 상반기와 비슷한 양상으로 흘러갈 것이며, 업계는 내년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두호 기자 walnut_park@etnews.com
-
박두호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