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액티브-액티브 DR 검증 돌입…기술·예산 모두 살핀다

행안부가 올 초 발표한 전산장비 이중화 적용, 재해복구시스템 실효성 제고 대책 설명 이미지. 행안부 제공
행안부가 올 초 발표한 전산장비 이중화 적용, 재해복구시스템 실효성 제고 대책 설명 이미지. 행안부 제공

정부가 실시간 데이터 동기화로 시스템 장애 발생 시 즉각 대응하는 재해복구(DR) 시스템 도입 검증에 착수했다.

연내 컨설팅을 마친 후 내년 일부 시스템을 테스트해보는 실증 사업을 진행, DR 전략을 구체화할 방침이다.

25일 행정안전부 관계자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자원)에서 시범적으로 액티브-액티브 DR 도입을 검증하는 중”이라며 “액티브-액티브 적용이 가능한지, 적용한다면 어디까지 적용할지 등을 폭넓게 살펴볼 예정”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올초 행정전산망 장애 재발 방지책을 발표하면서 DR 구축 방침을 담았다.

장애 발생 시에도 빠른 복원을 위해 1·2등급 정보시스템은 네트워크, 방화벽 등 모든 장비에 대한 이중화를 진행해 무중단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했다.

재해·재난뿐만 아니라 장애 상황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DR 구축기준을 마련한다. 행정전자서명(GPKI), 모바일 신분증 등 공통기능서비스에 대해서는 장애 상황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DR시스템을 여러 지역에서 동시 가동하는 방식(멀티 리전)을 적용할 계획이다.

이번 액티브-액티브 DR 도입은 1등급 등 주요 시스템에 우선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액티브-액티브 DR은 실시간 백업 체계를 구현한다는 점에서 유사시에도 끊김없는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는 점이 장점이다.

반면 기존 시스템과 동일한 환경을 하나 더 구현해야 한다는 점에 서버, 스토리지 등 비용 부담이 있다. 특히 실시간 동기화가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시스템간 물리적 거리가 멀어선 안 된다. 주센터와 백업센터간 거리가 멀어지면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에 지연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이유때문에 액티브-액티브를 구현한 사례가 많지 않다.

정부도 이를 인지, 이번 컨설팅과 시범사업을 진행하며 액티브-액티브 DR 대상 시스템이나 예산 문제 등도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국자원은 현재 운영하는 시스템 가운데 일부를 액티브-액티브 구현해보는 시범사업을 내년에 진행할 예정이다. 이 과정에서 쌓은 경험을 토대로 DR 세부 전략 마련에 참고할 방침이다.

업계는 정부 DR 방향에 주목한다.

DR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연초 DR 도입을 언급하면서 공공 DR 시장 성장을 기대하는 분위기였다”면서 “공공에서도 DR에 관심을 보였지만 정부가 액티브-액티브 DR 검증 등을 통해 DR 전략을 구체화하겠다고 언급하면서 관련 움직임이 멈춘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액티브-액티브 DR 구현이 가능하다고 얘기하는 기업도 있지만 이를 실제로 구현해 안정적으로 운영하는 곳은 드물어 정부가 어떤 전략을 최종 택할지 주목된다”면서 “업계도 내년 정부 결정에 따라 공공 진출 전략을 달리 가져갈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김지선 기자 riv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