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어내기 수출로 감소한 중국산 완제품 재고가 올초부터 다시 늘면서 국내 제조업의 70%가 피해 영향권에 속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배터리와 섬유·의류, 화장품, 철강 업종에서 저가 공세 피해가 이미 시작돼 상당 기간 악영향을 받을 전망이다.
대한상공회의소는 6일 '중국산 저가 공세가 국내 제조업에 미치는 영향' 분석에서 중국의 밀어내기식 저가공세가 상당 기간 지속될 수 있어 대응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중국이 과잉생산한 완제품 재고를 해외에 저가로 처분하면서 재고율이 1.68%(23년 11월)까지 떨어졌으나 최근 경기 둔화세로 4.67%(24년 6월)로 다시 높아지는 추세다.
대한상의가 전국 제조기업 2228개사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기업의 27.6%가 중국제품의 저가 수출로 '실제 매출·수주 등에 영향이 있다'고 답했다. '현재까지는 영향 없으나 향후 피해 가능성이 있다'고 답한 기업이 42.1%에 달했다.
특히 저가공세 피해는 내수보다 수출시장에서 더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기업의 37.6%가 '실적에 영향이 있다'고 답해 내수기업(24.7%)을 크게 앞섰다.
배터리 기업이 중국 저가공세로 가장 큰 이중고를 겪는 것으로 조사됐다.
업종별로 '이미 경영 실적에 영향이 있다'는 응답에서 이차전지(61.5%) 업종 비중이 월등히 높았다. 섬유·의류(46.4%), 화장품(40.6%), 철강금속(35.2%), 전기장비(32.3%) 등도 전업종 평균(27.6%)보다 높아 피해가 현실화되고 있었다.
저가공세 피해는 '판매단가 하락'(52.4%)과 '내수시장 거래 감소'(46.2%)가 가장 많았다. 복수응답으로 '해외 수출시장 판매 감소'(23.2%), '중국시장으로의 수출 감소'(13.7%), '실적 부진으로 사업 축소 및 중단'(10.1%) 사례도 나왔다.
향후 중국기업의 기술력 추월 시점은 '4~5년 이내'가 39.5%로 가장 많았다. '2~3년 이내'(28.7%) 등으로 응답기업의 73.3%가 5년 이내에 중국기업이 기술력에서도 앞설 것으로 예상했다.
우리 기업은 중국의 저가공세 장기화 대응 정책으로 '국내산업 보호조치 강구'(37.4%)를 가장 많이 꼽았다. '연구개발(R&D) 지원 확대'(25.1%), '신규시장 개척 지원'(15.9%), '무역금융 지원 확대'(12.5%) 순으로 답했다.
강석구 대한상의 조사본부장은 “우리 기업이 해외 수입품에 대해 신청한 반덤핑 제소 건수가 통상 연간 5~8건인데 올 상반기에만 6건이 신청됐다”며 “글로벌 통상 분쟁이 갈수록 확대되고 있어 정부 대응기조도 달라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배옥진 기자 witho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