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김치연구소, AI로 배추 중량·부피 예측 기술 개발…김치 제조공정 효율성 ↑

세계김치연구소가 개발한 배추 중량 및 부피 예측 모델.
세계김치연구소가 개발한 배추 중량 및 부피 예측 모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정부출연연구기관인 세계김치연구소(소장 장해춘)는 배추의 중량과 부피를 실측하지 않고 영상 이미지만으로 예측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술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김치 주재료인 배추는 계절, 품종, 재배 환경 등 다양한 변수로 매번 수확량 및 크기가 달라진다. 배추마다 균일하지 않은 중량 때문에 절임 배추의 염도가 달라 김치의 품질이 달라지고 생산효율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김치 제조공정에서 배추의 중량과 부피는 김치의 생산량을 예측해 계획생산을 가능케 하는 중요한 생산 지표이다. 김치 품질을 일관되게 유지하는 데 활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김치제조업체에서 부피와 크기가 다른 배추의 무게를 일일이 측정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웠다.

최근 고령화와 인력난으로 애로를 겪고 있는 김치산업계의 고질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혁신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정영배 세계김치연구소 실용화기술연구단 박사팀은 이미지 기반의 RGB-D(빛의 삼원색인 빨강·초록·파랑과 깊이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이미지 유형) 데이터와 머신러닝(ML) 기법을 활용해 배추의 중량과 부피를 실측하지 않고도 사전에 예측했다. 김치 생산효율은 향상시키고 품질변동은 최소화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배추의 중량을 예측하기 위해 배추를 절단 후 비정형으로 방사된 외엽을 최소화하는 모델과 ML 기법을 적용해 중량 예측 정확도를 91.3%까지 크게 향상시켰다. 2·3차원(D) 및 색상 정보 통합 모델을 활용하여 측정한 부피 예측 정확도는 90% 이상의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특히 정형화되지 않은 배추의 부피와 중량 차이로 발생하는 절임배추의 염도 편차를 최소화시키고, 김치 생산량을 사전에 예측했다. 계획적인 생산이 가능해지는 등 김치 제조공정의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장해춘 소장은 “이번 연구 결과는 김치 생산공정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한 사례로, 김치산업계의 고령화, 인력난 등을 해소할 수 있는 기술”이라며 “앞으로도 연구소는 미래 김치산업의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산업계 수요에 기반한 실용화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농학 분야 상위 1.2% 이내 국제 학술지인 '수확 후 생물학 및 기술' 온라인에 게재됐다.

광주=김한식 기자 hsk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