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기획] AI 경쟁력, 전력 적재적소 공급이 관건

게티이미지
게티이미지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국내 발전설비 용량송전망 회선 길이

인공지능(AI) 서비스 관련 데이터센터 수요가 급증하고 있지만 이에 필요한 전력 공급은 갈수록 원활하지 못할 전망이다. 발전시설은 전력 수요에 맞춰 증가하는 반면 이를 적재적소에 운반할 송전망 건설 공사가 대다수 지연되고 있기 때문이다. AI 생태계 조성이라는 국가적 과업의 성패가 사실상 송전망 확충 여부에 달려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배경이다.

한국전력,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국내 발전설비 용량은 2010년 76GW에서 지난해 144GW로 89% 증가했다. 같은 기간 송전망 회선길이는 3만675C-km(서킷킬로미터)에서 3만5596C-km로 16% 증가하는 데 그쳤다.

송전선로 확충 지연 이유로는 지역의 낮은 수용성이 지목된다.

전력 설비 건설은 입지 선정-사업시행계획-실시계획승인-부지매수-개발행위허가 등 과정을 거쳐야 한다. 최근 거의 모든 단계에서 지역주민과 지자체의 반대로 가로막혔다.

이로 인해 345kv 가공선로 기준 지자체 인허가에만 평균 13년이 걸리고 있다.

[창간기획] AI 경쟁력, 전력 적재적소 공급이 관건

한 예로 '345Kv 북당진-신탕정' 송전선로 건설 사업은 올해 12월 준공할 계획이지만 여전히 주민 반대 등 변수가 남아있다. 계획대로 진행된다 하더라도 지연 기간은 150개월에 이른다. 당진 화력-신송산·신시흥-신송도 송전선로, 신장성 변전소 건설 사업도 계획대로라면 이미 준공했어야 했지만 한전은 가동시기를 모두 2027년 이후로 늦췄다.

현 상태가 이어지면 데이터센터도 적기에 들어서지 못할 수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데이터센터의 수도권 설치 비중은 60%다. 전용 전력수요 비중은 72%에 이른다.

데이터센터가 늘어날수록 비수도권 발전소에서 생산한 전력을 수도권으로 끌어오는 송전량이 늘어나야 하는데 송전망이 부족하면 불가능하다.

전문가들은 송전망 확충 관련 갈등 조정·의사 결정 체계의 획기적 개선과 함께 전력 자급량이 높은 지역을 데이터센터 특구로 지정,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등의 다양한 해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박종배 건국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는 “전력 공급과 데이터센터 수요를 매칭해 송전망 이용도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면서 “무탄소·저가 전력을 제공하는 등 지원을 제공할 수 있도록 범부처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호 기자 snoop@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