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3월 말 기준 국내 금융회사 해외 부동산 투자 중 부실 우려가 있는 사업장 규모가 2조5000억원으로 집계됐다.
1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국내 금융권의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잔액은 57조원으로 작년 말 대비 6000억원 감소했다. 이는 금융권 총자산(6985조5000억원) 0.8% 수준이다.
금감원은 “고금리가 지속하고, 미국·유럽 등 해외 부동산 시장 개선이 지연되면서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금액이 전 분기 대비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금융업권별로는 보험이 31조3000억원(55.0%)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이어 은행 12조원(21.0%), 증권 7조8천억원(13.8%), 상호금융 3조7000억원(6.4%), 여전 2조1000억원(3.7%), 저축은행 1000억원(0.1%) 순이었다.
지역별로는 북미가 36조1000억원으로 가장 많고, 유럽 10조2000억원, 아시아 3조9000억원, 기타 및 복수지역 6조7000억원 등이었다.
만기별로는 올해 말까지 만기가 돌아오는 규모가 6조8000억원(11.9%)이고, 2030년까지 돌아오는 규모가 44조1000억원(77.4%)이었다.
금융사가 투자한 단일 사업장(부동산) 34조5000억원 중 2조5000억원(7.27%) 규모에서 기한이익상실(EOD) 사유가 발생했다. 기한이익상실은 이자·원금 미지급이나 담보 가치 부족 등에 따라 대출금을 만기 전에 회수하는 것을 말한다.
EOD 발생 규모는 분기별로 증가하고 있으나, 증가 폭은 줄어드는 추세다.
EOD 발생 규모는 작년 9월 말 2조3100억원(9800억원 증가), 작년 말 2조4100억원(1천억원 증가)에서 올해 3월 말 2조5000억원으로 900억원 증가했다. 금감원은 재택근무 등으로 오피스 시장 불확실성이 계속되고 있어 EOD 발생 사업장이 증가하는 등 투자자산 부실화 가능성이 확대될 우려가 있다고 보고 있다.
금감원은 “해외 부동산 투자규모가 총 자산 대비 1% 미만이고, 금융권의 손실흡수능력을 감안했을 때 투자 손실이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면서도 “특이 사업장에 대한 처리현황을 상시 모니터링해 금융사의 적정 손실인식, 손실흡수능력 제고를 유도하겠다”고 밝혔다.
김시소 기자 siso@etnews.com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금융권 해외 부동산 투자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