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기획] 美·中 AI 인재 영입 열중…韓, 민간투자 늘리고 진입장벽 낮춰야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국가별 AI 민간 투자액

인공지능(AI) 패권을 다투고 있는 미국과 중국은 AI 인재 육성을 위해 정부와 민간 차원에서 대규모 투자를 10년 이상 이어왔다. 글로벌 빅테크 기업은 천문학적 금액으로 AI 인재 모시기에 나섰다.

하지만 한국은 글로벌 AI 100대 대학에 단 한곳도 포함되지 못했다. AI 인재 양성에서는 경쟁력이 높지 않다. 선진국과 비교해 AI 산업 투자 규모도 작아 AI 인재 육성에 비상등이 켜졌다.

한국도 정부 지원, 민간 투자, 데이터 규제 완화가 조합돼 AI 인재 교육 개편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6년까지 초·중·고급 디지털 인재 100만명 육성 정책을 발표했다. 하지만 민간 AI 투자와 데이터 규제로 선진국 수준의 AI 인재를 육성하기에는 역부족이다.

[창간기획] 美·中 AI 인재 영입 열중…韓, 민간투자 늘리고 진입장벽 낮춰야

◇ 국가 주도로 AI 인재 확보에 나선 중국

AI 인재는 결코 단기간에 양성될 수 없다. 중국은 정부 주도로 AI 인재양성 정책이 세워졌다. 중국은 2001년부터 정보기술 교육을 의무화했다. 초·중·고에 IT 교육을 반드시 포함시켜야 했으며, 점진적으로 필수 이수 학습 시간을 늘려왔다.

지난 2017년에는 '차세대 AI 발전계획'을 세워 2030년까지 AI 분야 글로벌 1위를 목표로 내걸었다. 기초, 응용 연구에서 인재를 양성하고, 인공지능 분야 학과 설립, 석·박사 입학 정원 확대를 추진했다. 수학, 물리학 등 기초과학 분야와 AI를 결합하는 융합학과도 신설했다.

중국은 우수 인재를 미국, 유럽, 일본으로 유학을 보내기도 했다. 해외 유명 AI 교수 중국 대학 영입에도 적극적이다.

이처럼 중국은 오랜 시간 AI 시대를 대비해 인재 확보에 나서면서 최근 석·박사급 고급인재가 쏟아져 나오고 있다. 중국 칭화대 졸업자들의 진로 결정이 세계 AI 산업 판도를 좌우할 정도라는 평가다.

인재 확보는 기술력으로 입증됐다. 중국은 인공지능 안면·음성 인식 분야에서 세계 1위 국가다.

이원석 연세대 교수는 “한국 교육은 개인정보보호법으로 죽은 데이터로 실습하고, 책으로만 AI를 배우다 보니 논문쓰는 데 집중하고 있다”며 “학부, 석·박사들이 살아있는 데이터로 실험하면서 프로그램을 만들고 AI 기술 개발의 기초를 닦아야 하는데, 이런 부분이 선진국 대비 부족하다”고 말했다.

◇ 민간 주도 인재 양성에 집중한 미국

중국이 국가 주도로 AI 인재를 양성했다면, 미국은 민간 투자를 기반으로 AI 인재풀을 키웠다. 빅테크 기업들은 무상 교육 프로그램, 학습플랫폼 제공, 자격인증제도 등을 자체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미국 정부는 산업체와 협력을 늘려 빅테크 기업이 AI 인재양성을 지원하는 정책을 지원했다.

빅테크 기업이 자체적으로 인재 양성에 투자를 오랜 시간 이어갔다. 구글, MS, 아마존, 애플, 페이스북 등 빅테크 기업들은 비영리 코딩교육 단체인 '코드닷오알지'를 지원해왔다.

이 단체가 AI 교육 교재를 오픈소스로 제공하기 시작했다. 학교나 일반 기업에서 이 교재를 기반으로 실무 교육이 이뤄졌다.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기술을 배울 수 있어 실무 중심이다.

기업 개별 차원으로도 인재 양성에 집중하고 있다. 아마존웹서비스(AWS)는 'AI레디' 교육 프로그램으로 200만명에게 AI 기술을 교육하는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AI 업계에서 필요로 하는 기술을 프로그램을 통해 배울 수 있다.

AWS 관계자는 “AI 인재 확보는 장기간 해결할 과제이자 AI 경쟁력과 직결된다”며 “AWS는 교육 프로그램으로 필요한 인재를 키우고 있으며, 이들이 다른 회사에 가더라도 결국 AWS 기술자로서 AWS와 연동 전문가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글로벌 빅테크 기업은 AI 엔지니어 확보를 위해 천문학적인 돈을 투자하고 있다. 오픈AI는 최고 수준의 엔지니어에게 최대 130억원을 지급하고 있다.

◇ AI 인재 전쟁에서 밀리는 한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디지털 인재 100만명 육성에 나섰다. 정부 차원에서 AI 관련 예산이 연평균 30%가까이 늘고 있다. 하지만 뒤늦게 AI 인재 양성을 시작하고, 민간 차원에서는 투자가 미미한 점이 한계로 꼽힌다.

AI 인덱스 2024 보고서에 따르면, 국가별 2013년부터 2023년까지 인공지능 민간 투자 누적액을 비교한 통계에서 미국이 약 3352억달러(433조원), 중국 약 1036억달러 (138조원)로 압도적인 1, 2위를 차지했다.

영국(222억달러, 30조원), 이스라엘(128억달러, 17조원), 캐나다(105억 달러, 14조원), 독일(103억달러, 14조원), 인도(98억달러, 13조원), 프랑스(83억달러, 11조원)가 뒤를 이었다. 한국은 72억달러(9조 5000만원)로 9위를 차지했다.

글로벌 빅테크 기업은 해외 AI 개발자 확보에도 적극적이다. 구글은 인도, 일본, 한국 등 아시아 AI 인재를 50%까지 확보할 계획도 발표했다.

하지만 국내 AI 기업은 높은 진입장벽이 존재하는 E-7 비자 문제로 외국인 AI 인재 모시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국내 SW 기업 관계자는 “당장 AI 개발자 수요보다 공급이 부족하다”며 “인건비도 높아지고 있어 능력있는 인도, 파키스탄 개발자를 데려오려고 했으나 비자 문제가 워낙 복잡하고 기준이 높아 이들을 데려오기도 어렵다”고 말했다.

박두호 기자 walnut_par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