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공단이 국민연금과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등 4대 사회보험 정보시스템을 대상으로 재해복구(DR) 시스템을 재구축한다. 재해 발생 시에도 정보시스템을 빠르게 복구해서 4대 사회보험 민원 업무 안정성을 높이려는 복안이다.
정부가 정보시스템 장애 예방을 위해 투자할 방침인 만큼 공공 DR 시장 확대가 기대된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국민연금공단은 4대 사회보험 DR시스템을 재구축하기로 결정하고 사업자 선정에 돌입했다.
4대 사회보험 정보시스템은 4대 사회보험 원스톱 민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각종 민원 접수뿐만 아니라 국민연금, 국민건강보험공단, 근로복지공단, 한국고용정보원,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등 5대 주관기관과 정보를 연계하기 때문에 중요성이 크다.
국민연금공단은 지진·홍수·테러 등 재해가 발생할 경우에 대비해 4대 사회보험 DR 시스템을 구축, 가동성을 확보한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우선 DR센터를 구축한다. DR센터 위치는 주센터와 동일한 재해 상황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직선거리 50㎞ 이상 150㎞ 이내 지역으로 결정한다. DR센터에 입주하는 데이터센터는 대부분 장애에 대응할 수 있는 국제 수준(티어3)에 준해야 한다.
DR 시스템은 주센터 시스템과 동일 환경에서 가동한다. 이를 통해 주센터 시스템 운영 환경 변경 사항을 DR 시스템에 실시간 반영한다.
데이터는 주센터에서 DR센터로 실시간 복제된다. 재해 발생 시에는 DR센터에서 주센터로 신속한 데이터 복원이 가능하다. 이때 주센터와 DR센터 간에는 고밀도 광통신회선(DWDM)으로 이어진다.
DR 시스템으로 전환할 경우에는 3시간 이내에 마무리되도록 시스템을 구성한다.
국민연금공단은 혹시 모를 DR시스템 장애에도 대비해서 DR센터 내 모든 시스템 운용체계(OS)와 데이터 백업·복구 시스템까지 구축할 계획이다.
업계는 공공 DR 시장이 본격 열릴 것이라 기대한다. 주요 공공 정보시스템에서 DR 시스템이 점차 중요해지기 때문이다.
정부는 올해 초 발표한 '디지털 행정서비스 국민 신뢰 제고 대책'에도 DR 구축 방침을 담았다. 1·2등급 정보시스템의 경우 네트워크, 방화벽 등 모든 장비에 이중화를 진행한다. 이를 통해 무중단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DR 관련 예산도 증액했다. 대표적으로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은 장애 발생 시 즉시 가동할 수 있는 DR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내년 30억원을 새로 반영했다. 인프라 구축과 시범 운영을 통해 효율성·안정성 등을 검증하고, 2026년부터 기존 서버 기반 DR 시스템은 다중지역 동시 가동 기반으로 단계적으로 전환한다는 계획이다.
업계 관계자는 “중요도가 높은 공공 시스템 가운데 이미 DR 체계를 갖춘 곳도 있지만 그렇지 않거나 노후화된 시스템을 보유한 곳도 많다”면서 “정부가 내년에 별도 예산까지 편성한만큼 국민연금공단뿐만 아니라 여러 굵직한 사업이 나올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류태웅 기자 bigheroryu@etnews.com
-
류태웅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