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재호 국가인공지능위원회 부위원장은 인공지능(AI) 대전환 시대에 발맞춰 정부 조직도 대대적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국가정보원은 산업 관련 경제안보 역할을 강화하고, 통계청은 빅데이터청으로 확대 개편하는 등 AI의 효율적 활용과 효과 극대화를 위한 체계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염 부위원장은 전자신문 창간 42주년 특별인터뷰에서 “정책 수립에 AI를 이용하게 되면 보다 많은 정보가 필요한데 정부 조직도 그에 맞게 변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염 부위원장은 대통령이 위원장을 맡아 지난 26일 공식 출범한 국가인공지능위원회의 부위원장 자격으로 조직을 실질적으로 이끈다.
그는 “지금은 건국, 그리고 민주화 이후 미래지향적 사회와 국가 대개조 측면에서 굉장히 중요한 터닝포인트”라며 “AI기술 변혁기를 활용해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는 시점”이라고 밝혔다.
염 부위원장은 그런 측면에서 국가AI위원회 출범은 AI를 단순 기술 문제나 산업 문제에서 나아가 새로운 국가 디자인까지 같이 고민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가AI위원회는 AI를 통해 대한민국의 국가 시스템과 사회 시스템을 대개조하는 계획을 수립한다. 교육, 의료, 법률 분야에서 AI가 핵심 역할을 할 것으로 내다보고, AI를 통해 우리 사회 전반의 혁신을 추진하기로 했다.
염 부위원장은 “국가정보원도 국가의 핵심 광물자원 등 주요 정보를 꿰뚫는 조직이 돼야 하며, 통계청도 빅데이터청으로 바꿔야 한다”면서 “국가 디자인의 선제적 변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미·중 갈등이 신기술 경쟁에서 나아가 자원 무기화로 이어지는 시점에 핵심 광물자원의 안정적 수급은 경제안보의 핵심 요소가 됐다. 이처럼 산업에 대한 보다 많은 정보와 분석, 활용이 필요해진 만큼 국가 대개조 차원의 정부 조직 변화를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염 부위원장은 “국가AI위원회가 중장기적 정부 조직의 변화까지 염두에 둘 수 있다”면서 “아직은 아이디어 단계지만 앞으로 위원회 차원에서 이를 논의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그는 정부가 중소기업이나 스타트업, 대학 등을 지원하는 방식도 AI시대에 맞춰 달라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직접 보조금을 나눠 지원하는 방식은 지양하고 생태계간 협업과 경쟁을 독려해 전반적인 국가 기술력을 높여야 한다는 것이다.
염 부위원장은 “중소기업과 대학의 협업을 보다 활성화하고, 이러한 대학에는 규제를 과감하게 풀어주는 방안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명희 기자 noprint@etnews.com
AI 효율적 활용·극대화 위해
-
김명희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