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연, 통계적 방법 활용 교량안전 추정 기술 개발

내하성능 추정 서비스 화면
내하성능 추정 서비스 화면

한국건설기술연구원(원장 김병석)은 신속·간편하게 교량 안전 성능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내하성능(하중을 견디는 능력) 추정 기술을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우리나라 교량은 1~3종으로 구분되며 점검 진단 유형이 달라진다. 내하성능 평가는 1종 교량에만 의무화돼 있다. 전체 교량 3만9457개소 중 약 11.48%다.

기존 교량 내하성능 평가 방식은 설계자료 검토, 교량 거동 계측, 시뮬레이션 해석 등을 포함해 고도의 전문 지식이 요구되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2~3종 교량 대상 평가는 현실적으로 어렵다.

이에 박기태 건설연 구조연구본부 박사팀(실무책임자 정규산 수석연구원)은 통계적 방법을 활용해 교량 내하성능을 97% 정확도로 추정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지자체 협조로 수집한 4845건 교량 점검진단 보고서를 바탕으로 교량 상태평가 결과, 재료시험 결과 등 50여 가지 세부 항목을 분석해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 이를 기반으로 했다.

내하성능 추정 결과 예시.
내하성능 추정 결과 예시.

연구팀은 IBM의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소프트웨어(SW)를 사용해 데이터 품질을 향상시키고, 내하성능 추정 모델을 개발했다. 해당 모델은 RC슬래브교 등 국내 교량 약 84%를 차지하는 4개 형식 교량에 대한 내하성능 정보를 제공한다. 교량 구조물 스마트 유지관리 플랫폼을 통해 쉽게 활용할 수 있다.

담당 인력이 부족한 정부 부처 및 지자체가 이 플랫폼으로 관리 대상 교량 정보를 등록, 내하성능 추정 결과와 점검 우선순위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 이 기술로 평가를 수행하지 않는 교량 중 노후 위험 교량을 선별·관리해, 유지관리 예산 집행을 효율화 할 수 있다.

김병석 원장은 “교량 내하성능 추정 기술은 특히 중·소규모 노후 교량 중 안전성이 취약한 교량을 선별해 관리주체에게 우선 점검 또는 정밀안전진단 권고 의견을 제공한다”며 “교량 안전 확보와 효율적인 예산 운용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기술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원해 주요사업으로 수행 중인 'DNA 기반 노후 교량 구조물 스마트 유지관리 플랫폼 및 활용기술 개발' 과제를 통해 개발했다.

김영준 기자 kyj85@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