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블록체인 인력양성, 선택 아닌 필수

블록체인 인재양성이 시급하다
블록체인 인재양성이 시급하다

미래 산업으로 꼽히는 블록체인 시장이 확대되고 있지만 전문 인력은 턱없이 부족하다고 한다.

최수진 국민의힘 의원실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2017년~2023년)간 국내 블록체인 기업수는 30개에서 436개로 약 14배 증가했다. 시장규모는 500억원에서 4338억원으로 약 9배 성장했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 지난해 말 기준 블록체인 인력 채용과 공급을 비교·분석한 결과, 총 823명의 인원(분석·설계 238, 구축·운영 421명, 서비스 기획 146명)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21대 국회에서 블록체인 기술과 산업진흥을 위한 개정안들이 여러건 발의됐으나 국회 문턱을 넘지 못했다. 또 윤석열 대통령도 대선공약으로 '디지털산업진흥청 설립'을 통한 블록체인 산업 육성 의지를 드러냈으나 후속 대응은 없다.

블록체인에 대해선 다양한 해석이 나오지만 일단 성장하고 있고 다양한 미래 기회를 만들 가능성이 있다. 정확한 정책방향 수립과 산업에 대한 정확한 인식부터 시급해 보인다.

많은 전문가들이 블록체인 생태계를 선도하는 국가가 향후 산업에서 다양한 기회가 될 것으로 본다. 정부, 민간, 연구계 및 산업계가 합심해서 국내는 물론 글로벌 블록체인 시장을 선도하기 위한 대응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전문인력 양성이 우선 과제다.

인재 양성과 기술 개발, 서비스 공여, 일자리 창출이 선순환적으로 맞물려 있어야 한다는 말이다.

정부는 우선 미래 기술로 꼽히는 인공지능(AI), 빅데이터, 핀테크, 가상현실(VR), 메타버스 및 클라우드 컴퓨팅 등과 블록체인 간 융합이 얼마나 폭발적인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는지에 주목해야 한다.

대한민국은 기술력에 비해 이를 시장화하는 산업적 천착이 부족하다. 예를 들면 엄격한 금융규제에 놓인 핀테크 산업 시장 규모는 뛰어난 기술력에도 2020년 세계 18위에 랭크됐다. 반면 블록체인 기술 기반 가상화폐 시장 규모는 세계 3위다. 이는 가상자산이 국내 금융당국의 규제에 전적으로 의지하지 않는 글로벌 산업시장성에서 기인하기 때문이다. 만약 국내 금융당국이 산업 진흥 우선으로 전향적 정책을 실시했다면 국내 핀테크 산업도 세계 상위권에 진입할 수 있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초고속 통신망과 우수 인재들을 보유한 뛰어난 IT 인프라를 갖춘 국내시장에서 전문인력 양성을 전담할수있는 콘트롤 타워가 절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