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정학 리스크에 수출기업 우려 고조…66.3% '경영 위험'

수출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지만 미·중 갈등,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중동 분쟁까지 이어지며 지정학적 리스크에 수출기업 우려가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 448개 수출제조업 대상으로 실시한 '지정학적 리스크 장기화 영향과 대응 실태조사' 결과, 미·중 갈등·러·우 전쟁 등 지정학적 리스크를 경영 위험요인으로 인식한 기업이 66.3%로 나타났다.

39.5%가 '일시적 위험 정도'로 인식한 반면 23.7%는 '사업 경쟁력 저하 수준', 3.1%는 '사업 존속을 위협하는 수준'으로 답했다.

지정학적 리스크가 기업경영에 미치는 영향 - (자료=대한상공회의소)
지정학적 리스크가 기업경영에 미치는 영향 - (자료=대한상공회의소)

지정학적 리스크를 경영 위험요인으로 판단한 기업은 피해 유형으로 △환율변동·결제지연 등 금융리스크(43.1%)를 가장 많이 꼽았다. 다음으로 물류차질과 물류비 증가(37.3%)를 들었다.

이밖에도 해외시장 접근제한·매출 감소(32.9%), 에너지·원자재 조달비용 증가(30.5%), 원자재 수급 문제로 인한 생산 차질(24.1%), 현지사업 중단 및 투자 감소(8.1%) 순으로 피해를 경험했다고 답했다.

주요 교역국별 피해 유형은 대중국 교역기업의 경우 '해외시장 접근 제한과 매출 감소'(30.0%)가 가장 많았다. 미중 갈등으로 대중국 수출이 대폭 감소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미국·러시아 대상 수출입 기업은 모두 '환율변동·결제지연 등 금융 리스크' 피해가 가장 많았다(미국 30.2%, 러시아 54.5%). 특히 러우 전쟁 발발 당시 해당국과 거래하고 있던 기업의 수출 대금 결제가 지연되거나 금융제재로 외화송금이 중단되는 피해가 많았던 것으로 조사됐다.

EU·중동 수출입 기업은 '물류 차질과 물류비 증가'를 가장 많이 꼽았다(EU 32.5%, 중동 38.0%). 중동전쟁 이후 홍해 운항을 중단하고 남아프리카로 우회 운항을 시작하면서 물류비 부담이 커진 영향이다.

지정학적 리스크 피해 유형 - (자료=대한상공회의소)
지정학적 리스크 피해 유형 - (자료=대한상공회의소)

지정학적 리스크 영향은 40.2% 기업이 현 수준으로 지속될 것으로 봤다. 더 빈번해질 것으로 예상한 기업도 22.5%로 조사됐다. 예측이 불가능하다는 의견도 29.5%를 차지했다.

기업 대응 전략(복수응답)으로는 57.8%가 '비용절감과 운영효율성 강화'를 꼽았다. '대체시장 개척과 사업 다각화'를 답한 기업도 52.1%를 차지했다. 공급망 다변화와 현지조달 강화(37.3%), 환차손 등 금융리스크 관리(26.7%), 글로벌 사업 축소(3.3%) 순으로 응답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현존하는 지정학적 리스크보다 앞으로 현실화될 수 있는 리스크가 무엇인지 식별하고 우리 수출 기업에게 정보를 적시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단기적으로는 피해 입은 수출기업에게 수출 바우처 등 정책 지원을 확대하고 중장기로는 민관 협력으로 정부가 자원개발을 주도하고 핵심 원자재의 공급망 안정화에 주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배옥진 기자 withok@etnews.com